오랜만에 찾은 현호색 군락

현호색은 한두 시간의 운전 끝에 서울 교외

야생화군락지에서나 보았던

대표적인 봄철 야생화 중 하나이다.

교외 야생화 출사를 그만둔 지 오래되어서

현호색 군락지도 최근에는 가보지 못했었다.

우연히 집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발견한

현호색 군락지

아마도 매년 이곳을 찾을 지도 모르겠다.

지구상에 서식하는 현호색은

약 300여종이나 되면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현호색 종류도

20여 가지나 된다.

지금까지 7~8종밖에 보지 못했지만

특이한 긴뿔구조의 꽃에 매력을 가진 사람 아니면

키가 작아서 엎드려야나 그 속내가 보이는

현호색에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 것 같다.

"보물주머니 또는 비밀"이라는 꽃말처럼

기다란 꿀주머니가 독특하지만

매개곤충도 그리 많지 않은 봄에

꿀을 왜 그리도 깊이 숨겨 놓았는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곤충이 화수분을 시켜서

무리 지어 꽃을 피우는지? 

궁금하다.

서양에서는 꽃모양이 종달새를 닮았다고

종달새라는 의미의 'Corydalis"를 속명으로 정했다.

내 눈에는 물속에 산소가 부족해서

물 밖으로 입만 내놓고 입을 뻐금거리는

양어장의 붕어떼 같은데...

제법 많은 개체가 군락을 이루고 있지만

종류는 딱 두 가지만 눈에 띈다.

그것도 단 한 포기만 다른 잎 모양을 한 것이고

나머지는 같다.

내년에 다시 가서 정확하게 파악해 보고

동정을 해야 할 것 같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