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방산개구리 #북방산개구리알

경칩이 지나면 변함없이 나타나는 북방산개구리 알

백사실계곡에는 도롱뇽도 있지만

북방산개구리도 있다.

알은 북방산개구리의 알이 도롱뇽 알보다 몇 배나 더 많다.

같은 웅덩이에 알을 낳아서

부화된 어린 개체는 서로의 알을 먹이로 삼기도 한다.

그래서 서로 경쟁적으로 먼저 알을 낳으려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산개구리 종류는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한국산개구리 등 세 종이 있다.

마침 물 속에서 달아나는 어미를 담을 수 있었지만

보통은 산란기에 어미를 발견하기 쉽지 않다.

물속에 잠겨 있는 낙엽 밑에 숨어 있기 때문이다.

도롱뇽은 밤에 계곡에 내려와 산란을 하고

다시 산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더더욱 보기 쉽지 않다.

해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이렇게 많은 알을 낳는 북방산개구리가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늘지 않는 것이 신기하다.

북방산개구리는 식용이 가능한 개구리지만

백사실계곡은 사람의 계곡 내 접근이 차단되어 있고

지킴이들에 의해 보호되고 있어서

북방산개구리를 잡아가는 사람은 없다.

그럼에도 개체수가 그렇게 폭발적으로 늘지 않는 것은

자연이 스스로 개체수를 조절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해마다 우리집 마당의 수조에 찾아와서

산란과 육아를 하는 무당개구리도

북방산개구리처럼 한 번에 수많은 알을 낳는 것이 아니라

한 번에 하나씩 알을 낳지만

그래도 전체적으로 보면 8월까지 제법 많은 알을 낳는다.

그래도 매번 봄에 찾아오는 무당개구리는

두세 마리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어디로 가는지 알 수가 없다.

자연의 자정능력은 쉽게 목도할 수 있는 현상이다.

인간만이 인위적 자정을 하지만

그 성과는 극히 미미하다.

법을 빌린 자정을 시도해도 끊임없는 범죄에 노출되고

심지어 지금은 출산율 저하로 인해

소위 한민족은 멸종위기종으로 치부되고 있으니

백사실계곡의 북방산개구리를 보며

인간은 자연의 일부라는 생각을 지워할 지도 모르겠다.

'무위자연 > 動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어리두줄깡충거미  (0) 2022.07.25
도롱뇽 부화  (0) 2022.06.04
따개비  (0) 2022.03.01
다시 만난 갈색눈깡충거미  (0) 2021.12.28
큰줄무늬깡충거미  (0) 2021.12.02

부전나비를 잡은 왕어리두줄깡충거미

날개를 편 크기로 보면

제 몸의 두배 이상 되는 거물을 잡은 셈이다.

늘 풀잎 위를 깡충깡충 뛰어다녀서

깡충거미는 거미줄이 없는 줄 알았다.

사진으로 담아 놓고 보니

왕어리두줄깡충거미는 잡은 사냥감을

거미줄로 포박해 놓았다.

거미줄을 펼쳐 놓고 기다리지 않고

깡충거리며 쫓아다니며

사냥을 하는 왕어리두줄깡충거미

이번에는 꽃등에를 잡았다.

마당은 약육강식의 세렝게티다.

'무위자연 > 動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사실계곡 북방산개구리 산란  (2) 2025.03.23
도롱뇽 부화  (0) 2022.06.04
따개비  (0) 2022.03.01
다시 만난 갈색눈깡충거미  (0) 2021.12.28
큰줄무늬깡충거미  (0) 2021.12.02

알에서 부화한 도롱뇽 새끼

물속 호흡기관인 외부 아가미가

선명하게 보인다.

도롱뇽은 물속에서는

외부 아가미로 호흡하고

다리가 나와 뭍으로 올라오면

폐로 호흡한다.

마치 진화의 단계를 실관 하는 것처럼

순대처럼 기다란 알주머니에 담긴

도롱뇽 알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산개구리 알과 나란히 있어서

산개구리와 경쟁을 할 수밖에 없기도 하다.

백사실계곡에서 도롱뇽 성체를

아직 보지 못했지만

고향집 텃밭에 나타난 도롱뇽으로 미루어 보아

이미 산속으로 들어갔을 것이다.

'무위자연 > 動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사실계곡 북방산개구리 산란  (2) 2025.03.23
왕어리두줄깡충거미  (0) 2022.07.25
따개비  (0) 2022.03.01
다시 만난 갈색눈깡충거미  (0) 2021.12.28
큰줄무늬깡충거미  (0) 2021.12.02

#따개비

바닷가에 가면 수없이 많이 볼 수 있는 #따개비

따개비는 조개와 같은 연체동물이 아니다.

고착 생활을 하지만 암수한 몸인 절지동물이란다.

바위 겉은 물론 조개껍질, 심지어 어구와 배 밑창까지

자리 잡고 살 수 있는 곳 어디에든

붙이고 살만큼 생명력도 강하다.

삶아 먹기 위해 샀던 가리비에도

따개비들이 여기저기 붙어 있었다.

유통단계를 보아 바다를 떠난 지 꽤 시간이 지나서

대부분 죽어 있었을 것으로 알았다.

예전에 사 먹던 고막에 붙었던 것들도 그랬었고.

손질하기 위해 물에 담가둔 가리비에서

무언가 스멀거리는 것이 눈에 보인다.

충이 붙었나 싶어 맨손으로 만지기도

불안했었다.

불을 비추며 자세히 보니

'나 아직 살었어' 하고

허공 중에 촉수를 뻗는 따개비였다.

사실 촉수처럼 보이지만

그것이 다리라니 놀랍다.

대부분은 다 죽었는데

두 개가 움직임을 보였다.

바닷가에서는 볼 수 없었던 장면이다.

이걸 집안에서 보다니.

허공을 향한 끊임없는 손짓이

나를 구해달라는듯 애처롭다.

어쩌나 바다로 다시 보내줄 수 없는 걸...

<흰줄따개비>

절지동물 완흉목 따개비과의 일종

학   명 : Balanus amphitrite albicostatus

분포지 : 전 세계

서식지 : 바닷가 암초, 말뚝, 배 밑

 

'무위자연 > 動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어리두줄깡충거미  (0) 2022.07.25
도롱뇽 부화  (0) 2022.06.04
다시 만난 갈색눈깡충거미  (0) 2021.12.28
큰줄무늬깡충거미  (0) 2021.12.02
왕어리두줄깡충거미  (0) 2021.11.21

#갈색눈깡충거미

작년에 만났던 #갈색눈깡충거미

아이비제라늄 꽃잎에 앉았다.

몸집에 비해 긴다리

깡충깡충 뛰기에는 부담스러운 다리다.

그것이 기우에 불과했다는 것은

사진 몇컷을 담고

손바닥에 올려보려고 시도하자

금방 확인되었다.

어디로 튄지 모르게 뛰어 달아나버린

긴 다리의 갈색눈깡충거미

<갈색눈깡충거미>

절지동물 거미목 깡충거미과의 거미

학   명 : Jotus abnormis

           Phintella abnormis

분포지 : 한국, 중국, 일본

서식지 : 산지, 초원 풀밭, 나무위

'무위자연 > 動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롱뇽 부화  (0) 2022.06.04
따개비  (0) 2022.03.01
큰줄무늬깡충거미  (0) 2021.12.02
왕어리두줄깡충거미  (0) 2021.11.21
꿩의바람꽃 두 송이  (0) 2021.04.05

#큰줄무늬깡충거미

윤기 나는 까만 몸에 하얀 줄무늬가

아름답고 귀여운 #큰줄무늬깡충거미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25종의 깡충거미 중

가장 귀여운 종이 아닌지 모르겠다.

풀 숲 사이를 이리저리 기어 다니거나

깡충깡충 뛰면서

먹이를 사냥하는 깡충거미

검은색의 몸과 배의 측면에

흰색 줄무늬가 뚜렷하게 있어서

다른 깡충거미와 확연하게 구별된다.

다만 등딱지와 배의 윗부분 가운데도 흰 줄이 있는

흰줄무늬깡충거미와 헛갈릴 수도 있다.

5~8월 사이에 출현하며

겨울에는 나무껍질 속에

자루모양의 집을 짓고 월동한다.

<큰줄무늬깡충거미>

절지동물 거미목 깡충거미과의 거미

학   명 : Plexippoides annulipedis (Saito, 1939)

분포지 : 한국, 일본, 중국

서식지 : 나뭇가지나 풀숲

휴면기 : 나무껍질 속

크   기 : 8~9mm(수컷)

'무위자연 > 動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개비  (0) 2022.03.01
다시 만난 갈색눈깡충거미  (0) 2021.12.28
왕어리두줄깡충거미  (0) 2021.11.21
꿩의바람꽃 두 송이  (0) 2021.04.05
홍제천 자라의 유영  (0) 2020.10.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