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0월 마당에 처음 나타난 새주둥이버섯

어디에서 포자가 날아왔을까?

30년 가까이 살았지만 처음 보는 버섯이다.

화원에서 사 온 퇴비에 포자가 묻어왔을까?

하얀 알 같은 것에서 껍질을 뚫고

말뚝버섯처럼 대를 올린다.

갓이 없이 머리끝이 새 주둥이처럼 뾰족해서

그렇게 부르나 보다.

혹시 잘못된 동정이면 지도 부탁드린다.

초여름에서 가을 사이 나타나는 새주둥이버섯은

아파트 풀밭, 숲 속 특히 불에 탄 자리에

1~2개 또는 무리 지어 발생한다.

부생생활을 하는 버섯으로

독성분이 있고 식용 또는 약용한다.

높이는 5~12cm, 굵기 1~1.5cm로 연한 크림색이다.

<새주둥이버섯>

담자균문 말뚝버섯목 바구니버섯과의 버섯

학    명 : Lysurus mokusin (L. : Pers.)Fr.

분포지 : 한국, 중국, 일본, 호주.

서식지 : 풀밭, 불탄 자리

효    용 : 식용, 약용

'무위자연 > 菌類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란대망그물버섯  (0) 2024.03.15
검은망그물버섯  (0) 2024.02.06
여우꽃각시버섯  (0) 2024.01.23
비늘버섯 종류일까요?  (2) 2024.01.14
붉은그물버섯  (0) 2023.12.30

작년 9월 백사실계곡에서 만난 노란대망그물버섯

동정하는데 자신이 없지만

버섯대에 그물망 무늬가 있고

갓 아래쪽 기공이 그물모양인 것으로 보아

일단 노란대망그물버섯으로 동정한다.

혹시 잘못된 정보라면 지적 부탁드린다.

노란대망그물버섯의 갓은

둥근 산 모양에서 점차 편평하게 퍼진 후

가장자리가 치켜 올라가고

중앙이 오목해진다.

갓 표면은 점성이 없고

약간 비로드상이다.

어릴 때 올리브 암갈색이었던 것이

곧 올리브 황색을 띤 갈색이 된다.

살은 단단하고 황색이나

절단하면 천천히 녹황색이 되지만

청변하지는 않는다.

관공은 둥근 작은 원형, 각형이고

황색이다가 회황색으로 변한다.

상하 거의 같은 굵기의 자루 표면은

황색 올리브색이고

전면에 융기된 그물눈이 있다.

올해 다시 만나면

관공을 제대로 살펴보고

칼로 잘라서 단면의 변화를 살펴봐야겠다. 

<노란대망그물버섯>

담자균문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의 버섯

학    명 : Retiboletus ornatipes (Peck) Manfr. Binder & Bresinsky

분포지 : 한국, 일본, 중국, 극동 러시아, 북미

서식지 : 참나무류 등 활엽수림지역의 산지

효    용 : 식용 가능

'무위자연 > 菌類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주둥이버섯  (0) 2025.01.07
검은망그물버섯  (0) 2024.02.06
여우꽃각시버섯  (0) 2024.01.23
비늘버섯 종류일까요?  (2) 2024.01.14
붉은그물버섯  (0) 2023.12.30

오래도록 지붕을 갈지 못한 초가지붕처럼

갓 표면과 자루가 까만 검은망그물버섯

그물버섯과의 버섯 중 하나로

자루에 융기된 검은색 그물눈이 뚜렷하고

상처를 내면 흑변한다.

균모는 반구형이었다가

나중에 편평하게 펴지는데

연한 올리브색을 띤 회색 또는 흑색이다.

턱받이나 대주머니는 없다.

자실체의 살은 두껍고 단단한 백색이다.

공기와 접촉하면

담적색 또는 자색을 띤 갈색으로 변한다.

관공의 구멍은 다소 각형이고 색은 관공색과 같다.

관공에 상처를 내면 흑변한다.

자루는 관공에 함몰되어 있고

자루와 관공 사이에 간격이 있다.

자루는 아래로 갈수록 약간 굵어진다.

검은망그물버섯은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주로 참나무 등 활엽수와 소나무와 혼합림대의 땅에

홀로 또는 무리 지어 발생한다.

그물버섯들은 식용할 수 있는 것들이 많지만

검은망그물버섯은 신경계 중독과 환각효과가 있어서

식용에 주의해야 한다.

증상은 섭취 후 수십 분 내 발생하여

4시간 정도 되어야 사라진다.

맛은 쓰고

다량을 복용할 경우

혼수, 경련,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다행스럽게도 외관이 거무튀튀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채취할 생각조차 않을 듯싶다. 

<검은망그물버섯>

 

'무위자연 > 菌類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주둥이버섯  (0) 2025.01.07
노란대망그물버섯  (0) 2024.03.15
여우꽃각시버섯  (0) 2024.01.23
비늘버섯 종류일까요?  (2) 2024.01.14
붉은그물버섯  (0) 2023.12.30

10년 넘게 심비디움을 키우는 화분에 나타난

정체불명의 버섯

버섯도감과 인터넷 검색을 통해 확인한 이름은

여우꽃각시버섯이다.

처음에는 원추형에서 종모양으로, 둥근산모양으로 변했다가

종국에는 편평하게 바뀌었다.

다만 도감에 따르면 갓의 색깔이 흰색이라는데

이것은 처음 발생했을 때는 황색이었다가

점점 미색으로 바뀌었다.

갓의 중앙에는 황색 인편이 있다.

턱받이는 황색의 막질이다.

주름살은 백색으로 약간 성기고

떨어진 주름살이다.

포자가 어디에서 날아왔는지 모르지만

아마도 재작년 보충해 넣은 바크에

포자가 있었던 것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버섯은 정말 동정하기가 힘들다.

여우꽃각시버섯으로 동정하지만

잘못된 것이면 지적 부탁드린다.

<여우꽃각시버섯>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의 버섯

학    명 : Leucocoprinus fragilissimus (Ravenel ex Berk. & Curt.) Pat.

분포지 : 한국, 중국,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 

'무위자연 > 菌類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란대망그물버섯  (0) 2024.03.15
검은망그물버섯  (0) 2024.02.06
비늘버섯 종류일까요?  (2) 2024.01.14
붉은그물버섯  (0) 2023.12.30
마른가지선녀버섯일까?  (2) 2023.12.18

어디에서 포자가 날아왔을까?

마당에 처음 나타난 버섯

황갈색 비늘조각이 갓 표면을 덮었다.

갓 가장자리에도 비늘 조각들이 너덜거린다.

주름살은 빽빽하고

대와 사이가 조금 떠 있다.

대의 아랫부분도 황갈색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다.

턱받이가 있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검은비늘버섯 일까?

아니면 침비늘버섯 일까?

전문가님의 도움 부탁드립니다.

'무위자연 > 菌類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은망그물버섯  (0) 2024.02.06
여우꽃각시버섯  (0) 2024.01.23
붉은그물버섯  (0) 2023.12.30
마른가지선녀버섯일까?  (2) 2023.12.18
마른가지선녀버섯  (0) 2023.11.29

공원이나 낮은 야산 자락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붉은그물버섯

갓이 붉은색이고 갓 아래 주름이 그물망 모양의 관공이 있어서

그렇게 부른다.

그물버섯류의 대부분은 식용 가능하다.

그러나 확실하지 않다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갓 표면이 붉은 것은 독버섯이 많으니.

붉은그물버섯은 활엽수림 또는 혼합림

특히 참나무 아래 지상에 산발적으로 나거나 군생한다.

올여름 백사실계곡 참나무 아래에 발생한 

여러 개체들을 볼 수 있었다.

갓 피어난 붉은그물버섯은 아름답다.

암적색 또는 적갈색 돌기가 있는 갓 표면

노란 빛깔을 띤 관공 부분

노란 바탕에 붉은 줄무늬가 있는 자루

반구형의 갓 모양

전체적인 색감, 형태 등이

사진으로 담기에도 아름다운 버섯이다.

붉은그물버섯의 관공 부분에 상처를 내면

청동색으로 변한다.

외관상으로는 붉은비단그물버섯, 큰비단그물버섯도 비슷해서

제대로 동정하기는 만만치 않다.

달콤한 향기가 나고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항산화, 항종양 효과가 있다고 한다.

도감의 설명에 따라 식용하거나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한다면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기 바란다.

<붉은그물버섯>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그물버섯과의 식용버섯

학    명 : Boletus rubellus

분포지 : 한국, 일본, 중국, 유럽

서식지 : 활엽수림 또는 혼합림의 지상, 또는 잔디밭

'무위자연 > 菌類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우꽃각시버섯  (0) 2024.01.23
비늘버섯 종류일까요?  (2) 2024.01.14
마른가지선녀버섯일까?  (2) 2023.12.18
마른가지선녀버섯  (0) 2023.11.29
세발버섯  (0) 2023.08.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