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9월 고향에 갔다가 처음 본 바람하늘지기

이토록 낭만적인 잡초 이름이 있을까요?

어떤 연유로 이런 이름을 붙였는지 알 수 없지만

한해살이풀인 잡초에 붙여진 이름으로는

참 호사스럽다는 생각이 든다.

바람과 하늘을 지키는 풀이라는 뜻일까?

'지기'라는 의미는 어떤 명사 뒤에 붙어

'그 사물을 지키는 사람'을 뜻한다.

또는 '되, 말, 섬' 등의 뒤에 붙어

'그만한 분량의 곡식을 심을 수 있는 논밭의 넓이'라는

뜻도 있다.

처음 본 식물이어서 이름을 알아내는 것도

쉽지는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 유래를 찾는 것은 더 힘들다.

게다가 하늘지기라는 이름이 붙은 것이

12가지나 될 정도라는 것도 처음 알았다.

알핏보면 석창포를 닮은 바람하늘지기는

논둑, 물가의 습지에 자라는 사초과의 한해살이풀이다.

가을에 피는 꽃은 기다란 꽃줄기 끝에

꽃이삭이 복산형으로 달린다.

작은 꽃이삭은 달걀 모양으로

붉은 빛깔을 띤 갈색이다.

맨 위 사진처럼 암술머리 3개와 수술이

작은 이삭 끝에 자세히 봐야 보인다.

잎몸이 없는 입집 두세 개가 줄기를 감싸고

잎은 가는 선형으로 줄기 밑부분에서 

맨 아래 사진처럼 2줄로 배열하여 나는데

부채를 좌우로 편 것처럼 편평하다.

처음 보는데다 바람하늘지기라는 이름도 좋고

벗풀과 함께 심으면 보기 좋을 것 같아서

한 포기를 떠 왔는데

올해 종자에서 발아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바람하늘지기>

외떡잎식물 벼목 사초과의 한해살이풀

학    명 : Fimbristylis miliacea (L.) Vahl / F. littoralis Gaudich

분포지 : 한국, 일본, 대만, 중국, 만주, 인도, 말레이시아, 호주, 북미

서식지 : 논둑과 묵정논, 하천변, 습지 언저리

영    명 : Globe fringe-rush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떡갈잎수국  (0) 2025.02.01
풍선덩굴  (2) 2025.01.24
뚝갈  (0) 2025.01.21
큰벼룩아재비  (2) 2025.01.17
베베나  (2) 2025.01.10

작년 처음 만난 큰떡갈잎수국

뚝섬 한강시민공원에서 열린 서울국제정원박람회에서 보았는데

장보를 찾느라 힘들었다.

미국수국인 떡갈잎수국과 비슷하지만

떡갈잎 모양의 잎이 갈색이고 더 크다.

꽃차례도 원추꽃차례로 미국수국보다 더 크다.

목수국이나 떡갈잎수국은 보급된 지 꽤 오래되었는지

자료를 많이 찾을 수 있지만

큰떡갈잎수국은 자료가 거의 없어서

정확한 정보를 찾을 수가 없다.

구글링으로 찾은 학명은 Hydrangea quercifolia 'Burgundy'로

생각되는데 정확한 학명을 아시는 분

댓글 부탁드린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하늘지기를 아시나요?  (0) 2025.02.03
풍선덩굴  (2) 2025.01.24
뚝갈  (0) 2025.01.21
큰벼룩아재비  (2) 2025.01.17
베베나  (2) 2025.01.10

4년 전에 마당에서 자취를 감추었던 풍선덩굴

작년에 종자 3알을 구해서

모종판에서 싹을 티워 다시 꽃을 보았다.

너무 많아서 종자를 받지 않고 두었더니

자연스럽게 사라져 버렸었는데

작년에 다시 꽃을 피우고 채종을 했으니

올해부터는 매년 심어 가꾸려 한다.

한 포기에서 열매가 너무 많이 달려서

미국과 뉴질랜드, 호주 일부 지방에서는

침입성 유해식물로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원산지에서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이지만

다행하게도 우리나라에서는 한해살이라

그렇게 심각하게 번지지는 않을 것이다.

개체수가 많아져서 흔해지면

없을 때 느꼈던 소중함고 아쉬움을 망각한다.

풍선덩굴이 그랬었다.

매년 보던 꽃과 풍선 같은 열매를 못 보니

왜 종자를 따로 받아두지 않았던가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우리는 살면서 너무 익숙한 것에 대한 소홀함이 있다.

사라졌던 풍선덩굴을 보며 생각해 본다.

식물을 키우다 보면

생과 사를 바라보는 느낌이 다르다.

<풍선덩굴>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무환자나무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학    명 : Cardiospermum halicacabum L.

원산지 : 남아메리카

분포지 : 아프리카, 호주, 남아시아, 북미의 열대와 아열대지방

꽃    말 : 어린 시절의 추억(재미), 당신과 날아가고파

영    명 : Ballon Vine, Heart pea

이    명 : 풍경덩굴, 풍선초, 방울초롱아재비

효    용 : 관상용, 뿌리에 이뇨작용이 있고 신경질환과 류며티즘 치료에 쓴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람하늘지기를 아시나요?  (0) 2025.02.03
큰떡갈잎수국  (0) 2025.02.01
뚝갈  (0) 2025.01.21
큰벼룩아재비  (2) 2025.01.17
베베나  (2) 2025.01.10

작년에 광릉에서 처음 본 뚝갈

투박스러운 이름과 달리

작고 잔잔한 하얀 꽃은 아름답다.

노란색 꽃을 피우는 마타리와 같은 과라서

꽃모양이나 꽃차례는 마타리와 흡사하다.

뚝갈은 가지와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로

많은 작은 꽃들이 하얗게 달린다.

멀리서 보면 하나의 커다란 꽃송이처럼 보인다.

화관의 지름은 4m로 작고

짧은 통부에 끝은 5갈래로 갈라진다.

네 개의 수술과 한 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의 둘레에 둥근 심장 모양의 날개가 있어서

다 익은 종자를 바람에 날려 보낼 수 있다.

그래서 뚝갈은 바람골 주변에 서식한다.

뚝갈의 어린순은 나물로 먹을 수 있는데

보통은 식감과 맛이 다 좋다고 한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서는

약간 쓰고 떱떱하다고 하기도 한다.

어찌 되었든 이른 봄에 나는 어린순은

대부분 나물로 먹을 수 있지만

자연 나물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있으니

그 맛은 개인이 판단할 일이다.

<뚝갈>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마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Patrinia villosa (Thunb.) Juss.

분포지 : 한국, 중국, 일본

서식지 : 산과 들, 볕이 잘 드는 풀밭

이    명 : 뚜깔, 뚝깔, 패장, 흰미역취

꽃    말 : 생명력, 야성미

효    용 : 관상용.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진통.보간.해독.소종.배농의 효능이

              있어서 한방에서는 위장동통, 산후복통, 간기능장애,

              간염, 간농양, 위궤양, 자궁내막염, 적백대하,

              안질, 유행성이하선염, 옹종, 개선 등에 이용한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떡갈잎수국  (0) 2025.02.01
풍선덩굴  (2) 2025.01.24
큰벼룩아재비  (2) 2025.01.17
베베나  (2) 2025.01.10
둥근매듭풀  (2) 2025.01.09

광릉의 어느 캠핑장 뒷산에서 만난 큰벼룩아재비

재작년 장모님을 모셨던 처가의 선산에서

처음으로 보았었지만

장례 중이라 자세히 들여다볼 생각을 할 수 없었다.

작년에 아들네 식구를 따라갔었던 캠핑장에서의 3일 동안

캠핑장 주변을 둘러보다가 다시 만나서

사진으로 담았지만

매크로 접사가 아니라 화질이 맘에 들지 않는다.

 

담아 온 사진을 놓고 이리저리 찾아보다가

알아낸 이름 큰벼룩아재비

작은 것들에 붙여진 이름이 '벼룩'이라는 단어가

종종 있는데 그 벼룩보다는 조금 크다는 뜻에서

큰벼룩아재비라 부르는 것일까?

꽃도 작고 벼룩을 닮은 열매는 더 작다.

머리카락만큼이나 가는 큰벼룩아재비 꽃줄기

그 꽃줄기 끝에 3~5개의 하얀 꽃이 산형으로 달리니

꽃이 얼마나 작겠는가.

종모양의 꽃부리는 끝이 4갈래로 갈라지고

크기는 4mm 정도이다.

안쪽에 약간의 갈색 무늬가 있고

수술은 4개이다.

4갈래로 갈라진 꽃받침의 열편 끝은 뾰족하다.

지면에 거의 붙어 마주나는 잎은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주로 들판의 풀밭이나 묘지 주변에 자란다는데

만났던 두 곳이 모두 묘지였다. 

<큰벼룩아재비>

쌍떡잎식물 용담목 마전과의 한해살이풀

학    명 : Mitrasacme pygmaea R. Br.

분포지 :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말레이시아, 인도, 호주

서식지 : 들의 풀밭, 묘지 주변

영    명 : Pygmy mitrewort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선덩굴  (2) 2025.01.24
뚝갈  (0) 2025.01.21
베베나  (2) 2025.01.10
둥근매듭풀  (2) 2025.01.09
산꿩의다리  (0) 2024.12.30

작년에 마당의 야생화 몇 가지를 이웃에 주고

보답으로 받아 심었던 버베나

옛날에도 버베나를 사서 심었던 적이 있지만

이건 그것과는 다른 종이다.

잎이 긴 타원형에 깔깔한 털이 있는 회녹색이었었는데

이것은 세열상으로 깊게 갈라졌다.

예전에 키웠던 것은 Verbena hybrida였다.

버베나 속 식물은 지구상에 약 200여 종이 있어서

어떤 종인지는 잘 모르겠다.

버들마편초 역시 버베나 속 식물이다.

게다가 원예종 화초로 보급되는 것들은

교잡종이 많아서 제대로 알기가 더 힘들다.

구글에서 꽃모양과 잎모양이 비슷한 종을 찾아보니

V. amoena 또는 V. tenera 그리고 V. aristigera 등

셋 중 하나일 것으로 추정된다.

어쩌면 셋은 원종을 표시한 학명일 것이므로

이것이 교잡종이라면 전혀 맞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꽃 모양은 V. hybrida와 같고

이파리 모양만 다른 것으로 보인다.

원예종 화초로 보급되는 것들은

참 어렵다.

보통의 버베나는 노지월동이 되지 않는 한해살이였는데

이것이 겨울을 나고 올해 다시 싹을 틔울지 궁금하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뚝갈  (0) 2025.01.21
큰벼룩아재비  (2) 2025.01.17
둥근매듭풀  (2) 2025.01.09
산꿩의다리  (0) 2024.12.30
참새외풀  (7) 2024.12.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