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친구들과 모임에 갔다가 사온 병아리콩

열매가 병아리를 닮았다고 그렇게 부른다.

콩이나 다른 잡곡을 섞어 밥을 짓는데

건강에 좋다는 친구들 얘기를 듣고

남대문시장에서 샀다고 한다.

병아리콩을 넣어 밥을 지었는데

밤처럼 푸근하고 고소하고 단맛도 있다.

그 정체가 궁금해서 찾아보니

이집트가 원산지이다.

수입한 콩이라 싹이 날지 반신반의하며

화분에 몇 알을 묻었다.

화분에 묻은 병아리콩 모두가 싹을 틔웠다. 

병아리콩 잎을 보니 땅콩처럼 생겼고

솜털이 보송보송하고 부드럽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한 개씩 달리고

완두콩꽃 모양의 하얀 꽃이 피었다.

꽃이 지고 난 자리에

짜리 몽땅한 콩꼬투리가 달리는 데

길이가 짧아서 몇 알 들어있지 않을 것 같다.

고작 두 알이 들어 있는데

경작해도 한포기당 생산량이 그리 많지 않을 듯싶다.

기원전 8,400년경부터 서남아시아에서

재배한 것으로 추정되는 병아리콩

중동지역, 지중해연안의 남부유럽, 인도, 아프리카, 중남미 등에서

식용작물로 재배하고 있다.

칼로리가 낮고 단백질 함량이 높아서

다이어트식품으로 요즈음 각광을 받고 있단다.

칼슘 함량이 우유와 비슷하고

비타민C와 철분도 풍부해서

빈혈과 면역력 증진에도 좋고

인슐린에 예민하거나

당뇨병이 있는 사람에게도 좋다.

마그네슘, 나트륨 등 미네랄 함량도 높고

아연도 함유하고 있어서

콜레스테롤 저하에 도움을 준다.

중동에서는 날 것으로 먹거나

삶거나 튀기고 볶아 먹는다.

주로 수프, 카레의 주요 재료로 쓰인다.

<병아리콩>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

학    명 : Cicer arietinum L.

원산지 : 이집트로 추정

분포지 : 중동, 남부 유럽, 인도, 아프리카, 남미, 중미

서식지 : 농작물로 경작

영    명 : Chickpea

이    명 : 이집트콩

효    용 : 농작물로 재배. 슈퍼푸드의 하나. 식용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년초  (0) 2024.10.25
오렌지레몬나무키우기  (2) 2024.10.24
오렌지레몬나무  (0) 2024.09.21
양배추꽃  (0) 2024.09.13
분홍낮달맞이꽃  (1) 2024.09.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