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미술관 석파정에 갔던 길에

마치 수묵화를 그대로 옮겨 놓은듯한 나무를 만났습니다.

나무등걸이 마치 까만 먹으로 붓칠해 놓은듯한 나무.

표지판을 보니 무려 320년 된 회화나무랍니다.

그것도 2018년도에 영주에서 이식된 것이라네요.

오래된 고목을 이식했지만 제대로 착근이 된 것 같아 참 다행입니다.

겨울이라 꽃은 없지만 종자가 달려 있는 것을 보니...

무려 320년의 세월을 한 장소에서 버텨왔던 회화나무가

이식으로 인해 그 긴 세월을 날려버릴 수도 있었을텐데 말입니다.


<회화나무>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활엽교목

학   명 : Sophora japonica / Styphnolobium japonicum (L.) Schott

분포지 : 한국, 중국, 일본

서식지 : 궁궐 마당이나 출입구, 서원, 향교, 마을 등지에 식재한다

영   명 : Chinese scholar tree

이   명 : 괴화(槐花)나무

효   용 : 정원수, 관상용, 밀원식물, 한방에서 꽃봉오리를 괴화(槐花) 또는 괴미(槐米)라 하여 동맥경화, 고혈압 치료에 쓰고

           열매를 괴실(槐實)이라 하여 가지, 껍질과 함께 치질, 습진 치료, 지혈 등에 쓴다.

           괴화로는 맥주나 종이를 황색으로 만드는데 쓴다.

이식의 배경은 잘 모르겠지만

짧은 삶을 사는 사람조차 거소를 옮기면 배앓이를 하는데

무려 320년을 산 노거수가

이식과정에서의 그 고통을 이겨내기는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작은 소나무는 물론 야생 춘란조차

산채 후 배양과정에서 고사하거나 병사하는 경우가 흔하지요.

물론 전문가가 그 정도는 충분히 커버할 수는 있겠지만

높이가 30m에 직경이 2m까지 자랄 수 있는 화화나무가

320년의 세월을 그렇게 작은 키와 둘레로 살아냈다는 것은

엄청 척박하고 고통스러운 환경에서 자랐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회화나무 열매

회화나무 열매

수피가 훤히 드러나고 체관이 동공화 할 정도로

분재화 된 회화나무.

다행히 상부에 무수히 많은 새로운 가지들이 자라나고 있어서

정말 오래묵은 선비의 풍모가 느껴지는

기품있는 회화나무입니다.

예로부터 학자수(學者樹), 정승목(政丞木)이라 불렀다는 말이

빈말이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 석파정의 또다른 명물로 자리매김 될 것 같네요.

우리동네 가로수로 심어져 있던 회화나무 꽃입니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아그배나무 열매  (0) 2020.03.20
참장대나물?  (0) 2020.03.16
말오줌때  (0) 2020.02.10
삼색제비꽃  (0) 2020.02.07
전호  (2) 2020.02.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