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깨풀
<들깨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한해살이풀
학 명 : Mosla punctulata (J.F.Gmelin) Nakai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중국, 만주, 대만, 일본, 오키나와
서식지 : 들
영 명 : Purplish field mosla
효 용 : 전초를 석제녕이라 하여 약용한다. 청서열(淸暑熱), 거풍습(祛風濕), 소종(消腫), 해독의 효능이 있다.
서열사증, 비출혈, 혈리, 감기, 만성기관지염, 옹저창종, 풍진, 열을 치료하는데 쓴다.
백사실계곡 입구에서 처음 만난 들깨풀.
꽃이삭을 보면 영락없는 들깨다.
다만 들깨는 꽃이 흰색이고 더 다닥다닥 달리지만
꽃모양, 꽃받침이나 이파리 등은
농작물로 키우는 들깨와 비슷하다.
역사적으로 보면
우리가 먹는 농작물들은 모두 야생종을 개량한 것들이다.
청동기시대 이전부터 재배해왔던 벼는
아직도 야생성이 강하여
심어 놓고 내버려두면
얼마되지 않아 야생종으로 되돌아간다.
우리나라의 야생 돌콩은
미국으로 건너가 미국을 콩 주산지로 바꾸어 놓았다.
국생종을 찾아보니
산들깨, 푸른산들깨, 쥐깨풀 등 비슷한 것들이 많아서
구분해내기는 쉽지 않다.
농작물로 키우는 들깨의 원종은 어떤 것일까?
국생종의 설명만으로만 보면
그것들을 구별하기도 쉽지 않지만
들깨의 원종이 어느 것인 지를 찾기는
더 더욱 힘들다.
8~9월에 피는 연한 자주색 꽃이
가지 끝에 이삭으로 달린다.
포는 2.5~3mm로 바소꼴이다.
꽃받침은 위쪽 3개, 아래쪽 2개로 갈라지며
화관도 2개로 갈라진다.
윗입술꽃잎은 가운데가 약간 파지고
아랫입술꽃잎은 3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4개다.
마주나는 잎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 또는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은 둥글다.
길이는 2~4cm, 나비는1~2.5cm로
앞면에 잔 털이 있고
뒷면 잎맥 위에 짧은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낮은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1~2cm이다.
전초를 담은 사진이다.
국생종의 설명에 따르면
줄기가 20~40cm로 둔한 사각형이며
흔히 자줏빛이 돌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단다.
들깨풀이 오늘날 우리가 즐겨 먹는
들깨의 조상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