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쟁이냉이>

잎파리가 주걱을 닮았다하여 일명 주걱냉이라 불리우는 아이입니다.

비록 접사를 통해서야 비로소 알게 되었지만

야생의 하찮은 냉이꽃도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다는 것은

그것보다도 훨씬 존귀하게 여겨져야 할 인간의 존재의 가치가

설사 그 사람이 현재 처해져 있는 지위, 빈부, 미추, 노소등 어떠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홀대하거나 무시되어서도 또는 해서도 않된다는 것을 일깨워 줍니다.

 

<는쟁이냉이>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십자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Cardamine komarovii Nakai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경남북, 경기, 강원, 평북, 함남북, 중구 만주지역 등

서식지 : 심산지역 계곡 그늘진 냇가

개화기 : 5~6월

이   명 : 주적냉이, 주걱냉이, 는장이냉이, 숟가락냉이, 숟가락황새냉이

효   용 :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나리냉이  (0) 2010.05.29
명자나무  (0) 2010.05.28
돌단풍  (0) 2010.05.24
중외공원 야생화  (0) 2010.05.22
암담초  (0) 2010.05.21

잎이 나오기 전에 꽃만 오롯이 피어서 너무 청초하고 아름다운 야생화 <노루귀>입니다.

꽃이 지고나면 뒷면에 솜털이 보송보송한 잎이 말려 나오는 모양이

노루의 귀를 닮았다하여 <노루귀>라 불린다네요.

우리나라 원산종으로 진한 녹색에 하얀 반점이 있는 <새끼노루귀>,

잎이 크고 넓은 <섬노루귀> 등이 있답니다.

 

사람은 기본적으로 타인을 향해 열려 있는 존재이고

타인과 소통하면서 만들어지는 존재라고 장자는 말했습니다.

천안함 소식으로 온 나라가 우울한 이 봄,

<노루귀>를 통해 자연과 소통을 시도해 보심이 어떨지요. 

 

<노루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Hepatica asiatica Nakai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전국 각지 제주, 서울(북한산) 전남, 전북 덛유산, 경남, 충남 계룡산,

         충북, 강원, 경기(광릉, 가평,, 화야산, 천마산 등0, 평북, 함남

서식지 :

개화기 : 3ㅝㄹ

이   명 : 뾰족노루귀

효   용 : 어린잎은 나물로 무쳐 먹고, 여름에 전초를 채취하여 큰줄기는 치료에 쓴다.

꽃  말 : 인내 

 

 

  

 

  

 

 

 

 

 

  

 

 

 

 

 

 

 

솜털이 뽀송뽀송한 <노루귀>의 잎

정말 노루의 귀를 닮은 것 같지 않았나요 ?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지, 4월의 여왕  (0) 2010.04.19
천리향나무(서향)  (0) 2010.04.16
만주바람꽃  (0) 2010.04.14
꿩의바람꽃  (0) 2010.04.13
대만방울새난  (0) 2010.04.12

이름에서 부터 강인한 인상이 풍겨지는 <만주바람꽃>

깃털형으로 갈라진 잎과 달리 넉장 또는 다섯장의 심플한 난형의 꽃잎이

꽃샘 추위를 뚫고 이른 봄에 꽃을 피우는 강인한 종이라는 느낌을 갖게 한다. 

 

메마른 대지 위에 한두그루가 아닌 하얗게 무리지어 핀 군락을 발견했을 때의 기쁨이란....

더구나 멀리서 볼 때 하얀 솜이불을 깔아 놓은 것 처럼

탁트인 벌판에 대규모의 개체가 군락을 이루어 피어 있다고 상상해 보자.

 

대부분의 바람꽃 종의 학명에 Anemone를 사용하는데

만주바람꽃, 나도바람꽃, 너도바람꽃, 변산바람꽃 등

대개 꽃의 크기가 작은 바람꽃 종은 고유의 이름을 갖고 있다.

아마도 바람꽃이라는 이름을 붙였으되 그 근원이 다른가 보다.

 

<만주바람꽃>은 1974년 한국 미기록종으로 학계에 신고된 우리나라 희귀종이라는데

천마산에서는 군락을 이룬 많은 개체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다른 바람꽃과 달리 늘씬한 줄기 하나에 두세개의 긴 꽃자루가 달리고

작고 흰 꽃이 꽃자루 하나에 각각 하나씩 달려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꽃잎은 식물도감의 표기와 달리 네장짜리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만주바람꽃이 아니라 할 수 있을까 ?

 

 

<만주바람꽃>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Isopyrum manshuricum(Kom.) Kom.

영   명 : North-Eastern China Isopyrum

원산지 : 한국, 만주, 우수리 등지

분 포 지 : 경기도 광주시 남양주시 연천군, 강원도 평창군 화천군 등지

서식지  : 산지 숲 그늘, 숲 가장자리

개화기 : 4~5월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리향나무(서향)  (0) 2010.04.16
노루귀  (0) 2010.04.15
꿩의바람꽃  (0) 2010.04.13
대만방울새난  (0) 2010.04.12
천마산 야생화  (0) 2010.04.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