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 봉산면 길가 어느 집 담장에 핀 좀목형.

자연생은 아닌 것 같고 아마도 울타리목으로 심어둔 게 아닐까 싶습니다.


<좀목형>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마편초과의 낙엽관목

학   명 : Vitex negundo var. incisa (Lam.) C.B.Clarke

           Vitex negundo L. var. heterophylla (Franch) Rehder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경기도, 경상도, 지리산 일원, 중국

서식지 : 산기슭 바위지대, 양지바른 절벽, 절개지

이   명 : 소형실(小荊實), 모형실(牡荊實), 완형(頑荊), 백형(柏荊)

효   용 : 진해, 거담, 진통작용이 있어서 감기, 해소, 천식, 복통에 약용한다.

           부인들의 백대하에도 효과가 있다.

작년 안산자락길에서 처음 보았었죠.

이게 좀목형이라면 목형이 따로 있다는 것이지만

아쉽게도 목형 실물은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중국 원산인 목형과는 이파리 모양으로 구분하여야 할 것 같은데

꽃모양이나 꽃차례 등이 꼭 같아서

둘을 같은 자리에 놓기 전에는 구별이 쉽지 않겠네요.

꿀풀과의 나무답게 밀원이 발달하여

꿀벌들이 쉼없이 달려 듭니다.

고흥반도 해변에서 만났던 순비기나무처럼

이파리의 뒤면에 잔털이 있고 꽃모양은 거의 같습니다.

원추꽃차례로 피는 연한 보라색의 꽃은

깔대기 모양의 화관에 아랫입술이 큰 입술 모양입니다.

화관의 모양과 달리 종모양의 꽃받침은 다섯갈래로 갈라져서

지름 2mm 크기의 타원형 핵과인 열매를 포근히 감싸고 있습니다.

줄기와 잎에 방향유가 있어서

감기나 해소, 천식 등에 한약재로 쓰기도 하지만

밀원이 풍부해서 정원수나 녹화용으로 쓰기에도 좋습니다.

원래 낮은 산 양지바른 산기슭의 바위지대나 절벽에 자라서

자연산은 지리산의 산지에서나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작은 잎 3~5장이 손바닥 모양으로 붙어 자라는데

잎자루는 1~5cm 정도이고

작은잎은 가장자리가 깊게 갈라지거나 큰 결각상을 보이는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입니다.

도심 공원에 자랄 수만 있다면

키가 1~2m로 크지 않아서 조경수로 쓰기에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안산자락길 법면에 심어 놓았었나 봅니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주가  (0) 2017.09.02
개망초  (0) 2017.08.31
좁쌀풀  (0) 2017.08.25
긴꾸따루  (0) 2017.08.24
무스카리  (0) 2017.08.23

안산에서 처음 본 좀목형입니다.

이 아이의 이름을 알아내느라 애를 먹었을만큼

그렇게 흔한 나무는 아닌가 봅니다.

꽃만 봐서는 바닷가에 피는 순비기나무와 흡사합니다.

그러나 이파리가 타원형 또는 거꾸로 선 달걀모양인

순비기나무와는 확연히 다릅니다.

작은 잎 4~5장으로 된 손바닥모양의 겹잎으로

가장자리가 깊게 갈라진 피침형 또는 타원형입니다.


<좀목형>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마편초과의 낙엽관목

학   명 : Vitex negundo var. incisa (Lam.) C.B.Clarke<Vitex negundo L. var. heterophylla (Franch) Rehder>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경기도, 경상도, 지리산 일원, 중국

서식지 : 산기슭 바위지대, 양지바른 절벽, 절개지

이   명 : 소형실(小荊實), 모형실(牡荊實), 완형(頑荊), 백형(柏荊)

효   용 : 진해, 거담, 진통작용이 있어서 해소, 천식, 복통에 약용한다.

           부인들의 백대하에도 효과가 있다

가파른 절개지에 자란 데다 바람마저 심하게 부는 날이어서

2m 정도 되는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린 꽃을

제대로 담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줌으로 당겨 담은 사진으로 보니

꽃모양이 남해 어느 바닷가에서 보았던 순비기나무와 꼭 같은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그러나 삼잎처럼 생긴 이파리와 곁가지가 무성하게 자라는 꽃줄기 등이

완전히 생소한 나무였습니다.

자료를 검색해보니 좀목형이라는 데

그리 흔하지 않은 나무를 안산 자락길 주변에서 보리라고는 생각지도 못했습니다.

자생하는 나무인지 아니면 조경시 식재를 한 것인지 알 수는 없습니다.

꿀풀목으로 분리하기도 할만큼

꿀풀목 식물들의 꽃과 모양이 비슷하고

밀원도 풍부한지

벌과 다른 곤충들도 많이 찾아듭니다.

군락을 이룰만큼 밀생한 좀목형

도심 속의 생태계가 살아난다는 증거일까요?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국, 만개하다  (0) 2016.07.30
히어리 열매  (0) 2016.07.28
산수국  (0) 2016.07.25
접시꽃  (0) 2016.07.21
아주가  (0) 2016.07.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