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립세이지

청운문학도서관 마당에서 만난 #핫립세이지

이름처럼 붉은 입술이 매력적이다.

마당에서 한번 키워보고 싶은

예쁜 화초다.

오래전 한 포기 싶었었지만

노지 월동에 실패했다.

아름다운 관상적 가치보다는

영속성이라는 효율에 밀려

다시는 마당에 들어오지 못한 꽃.

이 정도 아름답다면

한해살이라 해도 다시 심어보고 싶다.

<핫립세이지>

쌍떡잎식물 꿀풀목 꿀풀과의 상록소관목

학   명 : Salvia microphylla var "Hot Lips" Kunth.

원산지 : 미국 애리조나 남동부, 멕시코 동서남부 산맥 북미 텍사스 남서부, 멕시코 산루이스 포토시의 고산지대

서식지 : 해발 1500~2700m 고산 암반지대

꽃   말 : 건장, 존경, 가정의 덕

영   명 : Baby sage, Graham's sage, Blackcurrant sage

효   용 : 관상용.

'좋은사진 > 꽃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맞이꽃  (0) 2021.12.19
뚱딴지꽃  (0) 2021.12.18
산국  (0) 2021.12.14
산부추  (0) 2021.12.12
서양등골나물  (0) 2021.12.08

눈이 오지 않는 겨울

문득 눈처럼 하얀 바탕에 선홍색의 무늬가 있는 핫립세이지가 생각났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풀꽃식물이나 다름없는 꽃

알고보니 작은 나무였었네요.

국내에 도입된 세이지종은

핫립세이지(Hotlipsage) 외에도 체리세이지, 파인애플세이지 등이 있습니다.

북한산 골짜기의 어느 사찰 마당에서 지난 여름 담았지만

외래식물이 아니라

마치 오래 전부터 그 자리에 있었던 것처럼

천연덕스럽게 어울리네요.

묵언을 표방하는 참선 수행을

역설적이게도 뜨거운 입술이라는 꽃으로 강조하나 봅니다.

어지되었던 올 한해는 선거다 뭐다해서

말이 많을 해입니다.

허공중에 난무하는 그 많은 말, 말, 말들 속에서

옥석을 가려내는 눈과 귀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때입니다.

원숭이의 지혜처럼 말입니다.

 

외래식물이든 토종식물이든

그대를 꽃으로만 볼지어다.

 

 

<세이지>

쌍떡잎식물 꿀풀목 꿀풀과의 상록소관목

학   명 : Salvia microphylla var "Hot Lips" Kunth.

원산지 : 미국 아리조나 남동부, 멕시코 동서남부 산맥 북미 텍사스 남서부, 멕시코 산루이스 포토시의 고산지대

서식지 : 해발 1500~2700m 고산 암반지대

꽃   말 : 건장, 존경, 가정의 덕

영   명 : Baby sage, Graham's sage, Blackcurrant sage

식물학자 Carl Epling의 품종 분류에 따르면

지리학적으로 세이지는 세 종이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오늘날

원종보다 훨씬 많은 30종에 가까운 교잡종들이

원예가들에 의해 만들어질만큼

사랑을 받고 있는 화초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완전한 하얀 꽃인 'Alba'같은 종처럼

단순하게 구분할 수 있는 종이 아니면

그 이름조차 제대로 동정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저 같은 서투른 아마추어는

걍 꽃을 꽃으로만 볼 것입니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펜타스 란세올라타  (0) 2016.01.09
울릉도 보리밥나무  (0) 2016.01.07
후박나무 열매  (0) 2016.01.04
갯국화/일본해국/아자니아 퍼시피카  (0) 2016.01.03
목서, 은목서  (0) 2016.01.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