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시꽃

어린 시절 흔하게 보았던 #접시꽃.

도종환의 시 "접시꽃 당신"으로

접시꽃을 알게 된 세대에게는 생경하겠지만

우리나라의 접시꽃의 기록은 무척 오래되었다.

신라 최치원이 접시꽃을 소재로 쓴 시가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할 만큼

그 연조가 깊다.

고향의 집집마다 심었었던 친숙함때문에

몇 년 전 분홍색 접시꽃 두 포기를 키웠었다.

어린아이의 시선으로 볼 때

접시꽃은 무지하게 크고

당시의 나를 압도하는 큰 키로 인해

꽃이 내게 주는 위압감이 엄청 컸었다.

성인의 시선으로 보아도 역시

우리 집 마당이 포용하기에는 너무 컸다.

그 이후 다시는 접시꽃을 심지 않는다.

접시꽃의 꽃말은 '평안, 풍요, 야망'이다.

접시꽃은

일부를 인용해보면 

납작하게 익은 열매가 접시를 닮았다고

그렇게 불렀다.

암이 걸린 아내를 안타까워하며 쓴 시인

시인 도종환의 '접시꽃 당신'은

그저 아내를 접시꽃 같다 했을 뿐

누구나 당면할 수밖에 없는 죽음을 앞두고

마무리해야 할 것들을 애절하게 노래하고 있다.

 모두가 내 입장 같은 시어에

빠질 수밖에 없다.

특히 내가 좋아하는 일부를 인용해 보면

아래와 같다.

 

중략

우리가 버리지 못했던

보잘것없는 눈 높음과 영욕까지도

이제는 스스럼없이 버리고

내 마음의 모두를 아리고 슬픈 사람에게

줄 수 있는 날들이 짧아진 것을

아파해야 합니다.

남은 날은 참으로 짧지만

남겨진 하루하루를 마지막 날인 듯 살 수 있는 길은 

우리가 곪고 썩은 상처의 한가운데에

있는 힘을 다해 맞서는 길입니다.

중략

'좋은 글 > 세상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향 들판  (0) 2021.10.21
한가위  (0) 2021.09.21
물망초이야기  (0) 2021.09.09
원추리이야기  (0) 2021.09.08
해넘이 인터벌영상  (0) 2021.09.06

도종환 시인의 접시꽃 당신이라는 시로

더 잘 알려진 접시꽃.


처음엔 접시꽃 같은 당신을 생각하며

무너지는 담벼락을 껴안 듯

주체 없는 신열로 떨려왔습니다.

- 중 략 -


그 접시꽃도 교배종이 많이 나와서

요즈음은 겹으로 피는 것

꽃잎 끝에 톱니형 거치 있는 것까지

계속 개량되어 왔습니다.

<접시꽃>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두해살이풀

학   명 : Althaea rosea (L.) Cav.

원산지 : 중국, 시리아

분포지 : 중국, 시리아 등 온대지역

서식지 : 길가 빈터 양지바른 곳

크   기 : 높이 2.5m

꽃   말 : 열열한 연애

이   명 : 촉규화, 덕두화, 접중화, 촉규, 촉게화, 단오금

효   능 : 관상용. 꽃에 점액이 있어서 한방에서 점활제로 사용, 잎, 줄기, 뿌리 등 약용

<접시꽃에 날아온 뒤영벌>

어린시절에 보았던 접시꽃은

모두 홑꽃이었습니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겹꽃이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그러나 화심이 제대로 보이지도 않는 겹꽃이 저는 싫습니다.

도종환 시인도 속내를 알 수 없는 겹꽃 보다는

홑꽃에서 시심을 읽은 게 아닐까요?

요즈음은 겹꽃, 홑꽃

그리고 색상에 있어서도 분홍색, 선홍색, 흰색 등

다양한 종의 접시꽃이 만들어졌습니다.

분홍색 홑꽃인 접시꽃을 마당에 심었습니다.

키가 너무 커져서 2m 이상이 되어버리니

가뜩이나 좁은 마당이 더욱 비좁아 보입니다.

내년에는 더 이상 심지 않으려 합니다.

그래서 화심을 열심히 드려다 봅니다.

벌이 꿀을 채취하기 위해 접근하 듯

날씨가 좋은 탓일까요?

금년에는 유난히 많은 곤충들이

접시꽃을 찾아왔습니다.

하얀 접시꽃

하얀 접시꽃

선홍색 접시꽃

화피에 거치가 있는 흰접시꽃

분홍접시꽃

접시꽃은 암수 딴꽃이 아니고

특이하게도 성을 전환한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아래 오른쪽 사진처럼 수꽃이었다가

시간이 지나면 꽃밥 속에 숨겨져 있던 암술머리가

머리를 풀어 헤치며 갈라집니다.

접시꽃은 이렇게 특이한 생존전략으로 많은 종자를 맺나 봅니다.

접시꽃 암꽃 

접시꽃 수꽃 

꽃이 떨어진 자리마다 벌써 누룩모양의 종자가 익어갑니다.

어쩌면 한그루에서 거의 반됫박의 종자를 딸 수 있지 싶습니다.

두해살이풀이지만 1년에 2m 가까이 자라려면

뿌리 인근의 영양분을 얼마나 많은 흡수해야 하지 생각해보면

그래도 두해살이풀인 게 다행으로 생각됩니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좀목형  (0) 2016.07.27
산수국  (0) 2016.07.25
아주가  (0) 2016.07.20
땅비싸리  (0) 2016.07.17
바위채송화  (0) 2016.07.16

오랜만에 올리는 <접시꽃>입니다.

예전 흔하게 보던 접시꽃과는 약간 다른 종인가 봅니다.

하얀 꽃은 잎에 거치가 뚜렸하고

분홍색도 거치가 있는 종과 그렇지 않은 종입니다.

 

예전에 흔히 보던 접시꽃은

거치도 없고 거의 부용화라 할 만큼 꽃도 커었습니다.

색상도 빨강색과 하얀색이었죠.

이 접시꽃을 보고 시인은

"처음엔 접시꽃 같은 당신을 생각하며

무너지는 담벼락을 껴안듯

주체할 수 없는 신열로 떨려왔습니다."라고 노래했습니다.

 

요즈음이야 원예종 화초의 종류가 하도 많아서 다르지만

예전에 집집마다 접시꽃 한두 포기 키우지 않은 집이 없었습니다.

어느 집 담장밑에 핀 접시꽃을 보며

볕 좋은 장꼬방 옆에 심어져 있던 옛날 시골집을 해 봅니다.

 

<접시꽃>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두해살이풀

학   명 : Althaea rosea (L.) Cav.

원산지 : 중국, 시리아

분포지 : 중국, 시리아 등 온대지역

서식지 : 길가 빈터 양지바른 곳

크   기 : 높이 2.5m

꽃   말 : 열열한 연애

이   명 : 촉규화, 덕두화, 접중화, 촉규, 촉게화, 단오금

효   능 : 관상용. 꽃에 점액이 있어서 한방에서 점활제로 사용, 잎, 줄기, 뿌리 등 약용

 

 

 

 

붉은 겹접시꽃 

 흰접시꽃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꽃으아리  (0) 2015.07.02
모란  (0) 2015.06.30
디기탈리스  (0) 2015.06.25
백도 꽃?  (0) 2015.06.24
큰조아재비일까요?  (0) 2015.06.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