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모양이나 이파리 모양이 초석잠과 비슷한

석잠풀입니다.

초석잠은 땅속에 누에 모양의 덩이뿌리가 있지만

석잠풀은 없습니다.

약간 습한 낮은 산지에 주로 자란다는데

홍제천변에서 만났습니다.

아마도 관상용으로 인위적으로 심은게 아닐까 싶습니다.




<석잠풀>

쌍떡잎식물 꿀풀목 꿀풀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학   명 : Stachys japonica Miq.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중국, 러시아, 일본

서식지 : 산지 습한 곳

이   명 : 물방아

영   명 : Korean hedge-nettle

효   용 : 관상용. 어린 순을 식용한다. 전초를 약용한다.

대부분의 꿀풀과의 꽃처럼

마디에서 층층이 돌려나며 꽃을 피웁니다.

길게 나온 아랫입술꽃잎은 그 특이한 문양이 아름답습니다. 

마주나는 잎은 초석잠과 달리

마주나는 잎이 피침형입니다.

줄기는 고추서서 개화기의 관상성을 높혀줍니다.

땅속뿌리로도 번져서 두세포기를 심으면

금방 군락을 이룬답니다.

넓은 정원에 연못주위에 심으면 보기에 좋을 것 같습니다.

마치 부처꽃처럼...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까치수염  (0) 2016.08.09
딱총나무 열매  (0) 2016.08.09
창질경이  (0) 2016.08.04
덩이괭이밥  (0) 2016.08.04
하늘백합  (0) 2016.08.03

초석잠, 초종용 꽃의 꽃입니다.

 

<초석잠>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Stachys sieboldii Miq.

           Stachys affinis Bunge

원산지 : 중국

분포지 : 중국 동북부, 한국, 일본, 시베리아 동부, 캄차카반도 등

서식지 : 산과 들의 습지

영   명 : Chinese artchoke, Japanese artichoke, Knotroot

효   용 : 관상용, 한약재, 뿌리는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전초를 초석잠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미열에 소변이 잘 안나오고 몸이 붓는데 효고가 있다. 지혈과 종기, 감기, 두통, 인후염, 기관지염, 폐병 치료에도 쓴다.

           코피, 토혈, 혈뇨, 혈변, 월경불순, 월경과다에도 효과가 있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월에 핀 미역취  (0) 2015.11.26
도꼬마리  (0) 2015.11.24
쥬웰채송화  (0) 2015.11.19
한련  (0) 2015.11.16
청가시덩굴 꽃과 열매  (0) 2015.11.13

집근처 절집 텃밭에서 키우는 초석잠입니다.

통상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석잠풀과 같이 석잠풀이라 부르지만

중국 원산인 초석잠은 이파리가 곰보배추처럼 쭈글쭈글하고

모양도 다른 것 같습니다.

학명도 석잠풀은 Stachys riederi var. japonica이고

초석잠은 Stachys sieboldii Miq.입니다.

석잠풀속 식물은 지구상에 약 350~400종이 서식하는

대규모의 종자식물중 하나입니다.

Stachys라는 속명은 '곡식의 눈'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따온 것이라네요.

 

<초석잠>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Stachys sieboldii Miq.

           Stachys affinis Bunge

원산지 : 중국

분포지 : 중국 동북부, 한국, 일본, 시베리아 동부, 캄차카반도 등

서식지 : 산과 들의 습지

영   명 : Chinese artchoke, Japanese artichoke, Knotroot

효   용 : 관상용, 한약재, 뿌리는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전초를 초석잠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미열에 소변이 잘 안나오고 몸이 붓는데 효고가 있다. 지혈과 종기, 감기, 두통, 인후염, 기관지염, 폐병 치료에도 쓴다.

           코피, 토혈, 혈뇨, 혈변, 월경불순, 월경과다에도 효과가 있다.

땅속줄기로 증식하고 바소꼴의 이파리에 거치가 있는듯 없는듯한 석잠풀과 달리

초석잠은 땅속줄기에 누에모양 또는 고동모양의 하얀색 뿌리가 달려 있습니다.

근래 이 뿌리줄기의 효용이 알려지면서

초절임이나 약재로 먹기 위해 재배하는 농가가 늘고 있습니다.

절집에 부탁해서 수확기에 몇뿌리 얻어다 마당에 심어 봐야겠습니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까마중  (0) 2015.08.28
도둑놈의갈고리  (0) 2015.08.27
덩굴별꽃  (0) 2015.08.23
뻐꾹나리  (0) 2015.08.21
사위질빵  (0) 2015.08.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