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에서 키우는 두 종류의 수선화

어린 시절부터 고향집에서 보았던 수선화를

몇 년 전 마당에 옮겨 심은 것과

작년에 사서 심은 미니수선화

고향집에서 가져온 수선화는

키도 꽃도 크다.

그래서 3월 중순에 새순을 올렸고

미니수선화는 3월 말에야 새싹을 틔웠다.

키만 잔뜩 키웠던 고향집에서 온 수선화

재작년 여름에 캤다가 가을에 다시 심었을 때는

작년에 일곱송이가 피었었는데

작년에 추식(秋植)을 하지 않아서일까?

올해는 단 한 송이도 피지 않았다.

작년에 심었던 미니수선화는

여덟 송이나 피었는데...

미니수선화도 올해 건조 후 추식을 하지 않으면

내년에 꽃이 없을까?

아버님 떠나신 후 고향집 수선화는

아무도 돌보지 않는데도

매년 꽃을 한가득 피우는데

따뜻한 남쪽과 서울이라 다른가?

나는 손이 많이 가는 원예종 화초는

그래서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덴드로비움석곡인가 홍매석곡인가?  (2) 2025.04.21
방울기리시마키우기  (4) 2025.04.17
증식이 쉽지 않은 얼레지  (4) 2025.04.16
노랑너도바람꽃  (0) 2025.04.14
아잘레아  (0) 2025.04.11

뭐니 뭐니 해도 봄꽃의 대명사는 개나리다.

이른 봄 노란 꽃으로 온 누리를 밝혀주는

흔하디 흔한 꽃

물론 자연적으로 증식되어

개나리 명소가 된 곳도 있겠지만

지방 자치단체가 개최하는 봄꽃축제에서

개나리가 빠질 수 없다.

서울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응봉산 개나리

바위산의 암벽틈에서도 잘 자라서

산 전체를 덮고 있는 것이 장관이다.

서울의 개나리 명소는

응봉산 외에도 남산순환로, 서울숲, 인왕산,

그리고 북한산자락길 탕춘대능선 등이다.

개나리가 이렇게 쉽게 군락을 이루는 것은

강력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직육면체롤 잘 다듬어 쌓아 올린 좁은 성벽틈

흙 한 줌 들어갈 곳 없는 그 틈새에

뿌리내리고 꽃을 피운 개나리

그런 개나리의 강력한 생명력에 기대어

작은 분재를 만들어 보았다.

가로 세로 10Cm도 채 되지 않는 작은 화분에

개나리의 굵은 밑동을 심어서

가느다란 가지들을 키워 꽃을 보려는 것이다.

개나리 소분(小盆)을 만들어 키운 지 3년

올해부터 꽃이 피기 시작했다.

하나에는 8송이의 꽃이 피고

둘에는 두 송이씩의 꽃을 피웠다.

하나는 올해는 꽃을 보지 못했지만

내년에는 4개의 작은 화분 모두가

많은 개나리 꽃을 피우기를 기대해 본다.

개나리의 강인한 생명력은

누구도 방해할 수 없으니까.

한여름철 완전히 마르지만 않게

물조절만 잘 해주면 되니 말이다.

아무리 척박한 땅에서도 자리잡고

굳건하게 자라는 개나리 강인한 생명력을

늙어버린 내 삶의 지표로 삼고 싶다.

'좋은 글 > 세상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월의 눈  (0) 2025.04.13
즐겁고 행복한 설명절되세요!  (0) 2025.01.29
즐거운 성탄절보내세요.  (0) 2024.12.24
행복한 한가위되세요.  (2) 2024.09.17
버들강아지 움트는 봄  (2) 2024.03.25

3월 말에 산 홍매석곡

꽃이 없는 긴 줄기 하나와

포트 모종 바닥에 붙은 짧은 줄기들을 보면

석곡 종류임에 틀림없다.

난초판매상의 팻말에는

홍매석곡이라고 쓰여 있었다.

마디에서 한쌍씩 달리는 것은

일반 석곡의 꽃차례와 동일하고

꽃봉오리 역시 영락없는 석곡이다.

다만 화판의 넓이가

일반 석곡보다 훨씬 넓다.

게다가 꽃 네 송이가 달린 줄기는

일반 석곡의 줄기에 비해

터무니없이 비대하다.

그것이 나로 하여금 주인장의 팻말을

믿을 수 없게 만든다.

두 종의 석곡을 키우고 있지만

두 종 모두 꽃의 색깔은 연한 분홍이었다가

하얗게 되는 자생 석곡이다.

처음 보지만 꽃이 크고 형태가 완벽해서

일단 사서 가져왔다.

그러나 홍매석곡을 검색해 보니

꽃의 색깔이나 화판이

사 온 것과 완전히 다르다.

홍매석곡은 완전한 붉은색에

좁은 바소꼴임에 비해

이것은 넓고 짧다.

주인장의 표시처럼

홍매석곡이 맞는 것일까?

원예 사이트를 검색하다 보니

홍매석곡이 아니라

덴드로비움석곡이 더 맞아 보인다.

다만 덴드로비움석곡도

자생 석곡처럼 줄기가 가는 것들도 있으니

덴드로움석곡이 맞는지도 알 수 없다.

혹시 이 글을 보시는 전문가분께서

정체에 대해 도움을 주실 수 있으면 좋겠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니수선화는 피는데...  (0) 2025.04.24
방울기리시마키우기  (4) 2025.04.17
증식이 쉽지 않은 얼레지  (4) 2025.04.16
노랑너도바람꽃  (0) 2025.04.14
아잘레아  (0) 2025.04.11

우리나라 산야에 비교적 흔한 현호색

어두운 숲을 배경으로

한줄기 빛을 받아 빛나는 현호색 사진은

사월 야생화 사진의 대표적인 구도이기도 하다.

야생화 사진을 담기 위한 야외출사를

포기한 지 오래 되어서

그런 장면을 담을 수 없음이 아쉽다.

그래도 그리 멀리 가지 않아도

만발한 현호색을 볼 수 있어서 다행이다.

'좋은사진 > 꽃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루귀  (0) 2025.04.18
미니수선화  (0) 2025.03.30
히말라야바위취 꽃보기  (0) 2025.03.14
금꿩의다리  (0) 2025.03.03
용담  (0) 2025.02.22

작년에 세 포기를 더 사서 심었던 노루귀

마당에 노루귀가 다섯 포기가 되었지만

올해도 꽃은 세송이뿐이다.

꽃대만 올리고 제대로 피지 못한 것까지 하면

네 송이로 자위할 수 있지만

서울 도심 주택 마당에서 노루귀 키우기 쉽지 않다.

노루귀는 산지의 그늘진 곳

습기가 적당한 부엽토양의 숲 속에

잘 자라는 야생화이다.

산수국 아래 그늘을 만들 수 있는 곳에 심었지만

토양과 습도가 자생지의 그것에는

도저히 미칠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도 완전하게 핀 청노루귀 한 송이와

백노루귀 두 송이를 보는 것만으로도

노루귀를 키우는 보람을 느낀다. 

'좋은사진 > 꽃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의 야생화 현호색  (2) 2025.04.19
미니수선화  (0) 2025.03.30
히말라야바위취 꽃보기  (0) 2025.03.14
금꿩의다리  (0) 2025.03.03
용담  (0) 2025.02.22

방울기리시마 또는 방울철쭉이라고 부른다.

이중으로 피는 꽃이 방울 같아서 그렇게 부른다.

기리시마(霧島)는 일본 섬 이름이다.

영명은 Coral bells azalea, Kirin Azalea 또는

Daybreak azalea이다.

방울철쭉의 고향은

일본 후쿠오카현 쿠루메(久留米)이다.

미국 캘리포니아 어는 보육원에서 일하던

도모토 형제가

일본 쿠루메에서 개량된 진달래 50여 종을

마국에 전래시켰는데

그중 하나가 Coral bells라 부르는 방울철쭉이다. 

6년 전에도 똑같은 키의 방울철쭉을

샀었던 적이 있다.

꽃 욕심에 같은 식물임에도 다시 샀는데

꽃이 다 시들고 나면

6년 전 그랬던 것처럼

마당으로 옮겨 심을지 고민해야겠다.

.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니수선화는 피는데...  (0) 2025.04.24
덴드로비움석곡인가 홍매석곡인가?  (2) 2025.04.21
증식이 쉽지 않은 얼레지  (4) 2025.04.16
노랑너도바람꽃  (0) 2025.04.14
아잘레아  (0) 2025.04.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