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 봉산면 어느 마을을 지나는 길에 도로변에서 만난 도깨비가지.

비교적 최근인 1978년 우리나라 학계에 보고된 이 놈은

미국에서 귀화하여 전국에 확산된

대표적인 생태계 교란식물 중 하나입니다.

미국 남동부지방이 원산지인 유독식물이

어떤 경로로 우리나라에 반입되었는지 밝혀진 것은 없지만

열매 하나에 40~170개나 되는 종자가 들어있고

한 개체에 40~50개의 열매가 달리니

한 개체가 퍼뜨릴 수 있는 F1이 이루 말할 수 없이 많습니다.

역시 생태계를 교란하는 식물도 미제가 대세가요?


<도깨비가지>

썽떡잎식물 가지목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Solanum carolinense L.

원산지 : 미국 남동부

분포지 : 한국, 아시아, 유럽, 북미

서식지 : 강둑, 길가, 목장, 빈터

영   명 : the horsenettle, radical weed, sand brier, bull nettle, apple of sodom, devil's tomato, wild tomato

가지속(Solanum)속 식물은 전 세계에 약 1,500~2,000종이나 될 정도로

넓은 대역의 식물을 포함하는 계통입니다.

'태양의 식물'이라는 별칭에 맞게

태양(sun)을 뜻하는 라틴어 'sol'에서 그 어근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지만

그도 불확실한가 봅니다.

방울토마토처럼 생긴 열매를 비롯하여

전초에 독이 있어서 취식하면

열, 두통, 목마름, 구토,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열매를 먹으면 복통과 호흡곤란으로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다섯갈래로 갈라지는 하얀 또는 연보라색의 꽃은

한없이 포용적으로 보이고 아름다워 보이는데 이런 극악한 독성이 있다니!

그러나 인간이나 여타 동물에게는 생명을 해치는 독성이지만

그것이 도깨비가지에게는 생존전략입니다.

생명을 가진 것들 중 일부는 자신을 희생시켜 다른 개체의 생존을 돕는

이타적인 행태를 보이는 것이 있는가 하면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 이처럼 자신을 공격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 것들도 많지요.

꽃은 가지꽃을 닮았지만 줄기와 잎에 가시가 많아서 도깨비같다고

이렇게 흉칙한 이름을 가지게 된 도깨비가지.

가지처럼 입자루와 잎의 뒷면 주맥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지만

총상꽃차례로 3~10개가 달리는 꽃은

커다란 별모양의 하얀 꽃과 다섯개의 노란 수술

그리고 녹색 꽃밥이 선연한 암술대가 아름답게 어울리는 꽃입니다. 

보기와 달리 독성이 강하고 확산 속도가 빠른 데다

오래 묵은 도깨비가지는 줄기가 거의 관목수준으로 자라서 제거하기도 힘들답니다.

그래서 미국의 여러 주에서도 유해성 잡초로 지정되어 있다니

이 놈은 보는대로 뽑아버려서 씨를 말려야겠습니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물레나물  (0) 2017.08.12
족제비싸리  (0) 2017.08.11
소래풀  (0) 2017.08.08
장미매발톱  (0) 2017.08.07
태백제비꽃  (0) 2017.08.06

<돼지풀>

6.25동란 이후 귀화한 귀화식물로 1968년 처음 알려졌다.

번식력이 매우 강하여 생태교란식물로 지정되었으며

화분병(花紛病)을 일으키는 식물로

가축사료로조차 쓰지 않을만큼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는 풀이다.

개화기에 많은 양의 꽃가루를 흩뿌려

알레르기성 비염, 각종 호흡기질환을 유발하는 식물이다.

단풍잎모양의 단풍잎돼지풀, 둥근잎돼지풀등이 보고되고 있다.

 

<돼지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학   명 : Ambrosia artemisiifolia L.(두산네이버백과:~var. elatior)

원산지 : 북아메리카

분포지 : 전국 각처, 유럽, 아시아

서식지 : 하천변 또는 약간 습한 곳

개화기 : 8~9월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절초  (0) 2010.10.29
참싸리  (0) 2010.10.27
노랑물봉선, 물봉선  (0) 2010.10.25
꽃범의꼬리  (0) 2010.10.25
둥근잎유홍초  (0) 2010.10.23

과연 소문대로 무시무시한 환경공해식물입니다.

동두천에서 만난 가시박

천변 나대지를 두껍게 덥고 있는 가시덩굴

1989년부터 1993년까지 호박의 연작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접붙이기용으로 반입하였던 것이

시중에 유출되어

넓은 잎으로 다른 식물들의 햇빛을 80% 이상 차단하여 고사시키는

생태교란식물로 지정되었으며

중부이남에서만 발견되었었으나 동두천, 철원까지도 서식지가 확산되었다.

 

이처럼 생태계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제대로 가늠해 보지도 못하고

안이한 생각으로 들여온 동물과 식물들이

우리의 토종생태계를 잠식해 막대한 피해를 주는데도

여전히 상업적 목적에 의해 반복적인 실수를 거듭하는 우를

더 이상은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가시박>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학   명 : Sicyos angulatus L.

원산지 : 북아메리카

분포지 : 한국 전역

서식지 : 하천 둔치나 제방

개화기:6~9월

영   명 : Bur cucumber, Star Cucumber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며느리밥풀  (0) 2010.10.20
자주꿩의다리  (0) 2010.10.19
남산제비꽃, 미국제비꽃 10월에 활짝 피다.  (0) 2010.10.15
까실쑥부쟁이  (0) 2010.10.14
황매화  (0) 2010.10.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