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미터 이하의 낮은 산지에 서식한다는 줄딸기를

1,300미터에 가까운 높은 산 청옥산 정상에서 만났습니다.

 

생육환경을 벗어난 고산지여서 그런지

예봉산에서 만났던 줄딸기보다는 꽃과 잎이 작고

꽃받침에 무시무시할 정도로 털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아무리 같은 종이라도 지역적 특성에 따라 꽤 다르나 봅니다.

수분이 많고 그늘진 계곡에 자라는 것은 이파리도 크고 꽃도 큰 반면

종일 햇빛과 바람에 노출된 고산지의 것은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파리를 최소화하고

작은 꽃을 피우는 등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식물 나름의 생존전략을 구사하나 봅니다.

그것을 인간의 표현으로 자연에 순응한다고 말하겠죠.

 

그러나 그 자연에 거스르다 못해

감히 역린까지도 불사하는 지구상의 생명체는 인간들밖에 없는 것일까요 !

부력과 중심축에 관한 자연의 이치를 무시하는 탐욕이나

단 한번의 죄 사함으로 구원을 얻는다거나

사실적 사건조차도 종교적 역사(役事)라는 자의적 해석을 강요하는

신앙의 편협성조차도

인간이 인간으로써 자연스러움을 거스르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간으로써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내 것을 지키는

최소한의 욕심만으로는 살 수 없는 걸까요?

 

곰딸기, 멍석딸기, 산딸기, 장딸기, 줄딸기, 복분자, 뱀딸기 등

이 땅에 서식하는 20여종의 야생 딸기들이

제각각 서식하는 위치와 환경에 따라

자신의 종을 번식하는데 최소한의 형태로 적응하고 살듯이 말입니다.

 

<줄딸기>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활엽만경목

학   명 : Rubus oldhamii Miq.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전역, 일본, 중국

서식지 : 600m이하의 산지 낮은 곳, 계곡, 들판, 바닷가

개화기 : 5월

이   명 : 덩굴딸기, 곰의 딸, 동꿀딸기, 덤불딸기, 애기오엽딸기

효   용 : 익은 열매를 식용한다. 당뇨, 천식, 간질환에 약용하며 자양강장효과가 있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구꽃과 살구  (0) 2014.06.19
아까시나무  (0) 2014.06.18
물참대  (0) 2014.06.14
쥐오줌풀  (0) 2014.06.13
골병꽃나무?  (0) 2014.06.12

<줄딸기>

어린 시절 호젓한 산길을 혼자 오르다 보면

숨이 차오르고 땀이 나고 뒤따라 심한 갈증을 느낄 때쯤이면

덤불 사이에 놀난 토끼눈처럼 빨갛고 투명한 산딸기를 보게 됩니다.

손가락에 물이 들도록 한웅큼 따서 먹고나면 이내 갈증은 사라지고

새콤 달콤했던 산딸기의 뒷맛을 입안 가득히 담고 산을 내려오곤 했었습니다.

 

이젠 복분자라하여 술이나 주스로 변신할만큼 사시사철 접할 만큼 가까운 음식이 되었으나

예전엔 6~7월 산에나 올라야 맛 볼 수 있는 계절과 장소에 제약이 있는

시골 사람들의 먹거리였을 뿐이었죠.

 

그로부터 40여년이 지난 오늘 나에게 줄딸기, 멍석딸기, 산딸기는

먹거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아름다운 꽃을 보여주는

볼거리로 발전했습니다. 

  

<줄딸기>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활엽만경목

학   명 : Rubus oldhamii Miq.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전역, 일본, 중국

서식지 : 600m이하의 산지 낮은 곳, 계곡

개화기 : 5월

이   명 : 덩굴딸기, 곰의 딸, 동꿀딸기, 덤불딸기, 애기오엽딸기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꽃마리  (0) 2010.06.18
산사나무  (0) 2010.06.18
졸방제비꽃  (0) 2010.06.17
삿갓나물  (0) 2010.06.16
빈카 마이너  (0) 2010.06.16

친구내외와 예봉산을 찾았다.

그저 건강을 위해 산을 찾는 사람과

산에 서식하는 식생에 관심있는 사람과의 산행이다보니

보폭도 맞지 아니하고 보는 관점도 서로 달라서

크게 어렵지 않은 적갑산, 철문봉, 예봉산 코스를 선택했으나

결국 예봉산까지 가지 못하고

저녁 약속시간에 맞춰 적갑산에서 허겁지겁 돌아오는 아쉬움 속에 산행을 마감했다.

 

이미 철이 지나 특별히 시선을 끌었던 야생화를 만나지는 못하였으나 

가까운 산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친근한 꽃들을 올려 본다.

 

<미나리냉이> 

 

<나도냉이> 

<좁쌀냉이> 

 <는쟁이냉이>

<새모래덩굴> 

<애기똥풀> 

<벼룩나물> 

<지느러미엉겅퀴> 

<줄딸기> 

 

<산괴불주머니> 

<병꽃나무> 

 

이런 실개천을 타고 오르는 길에 낮은지대에 서식하는 위와 같은 야생화들을 만나고 

여기서부터 본격적인 산행에 들어 갑니다. 

오름 초입에서 만난 <벌깨덩굴> 

 <천남성>은 비교적 많은 개체를 볼 수 있다.

 엎드려서 보아야 얼굴을 볼 수 있을만큼 작은 <으름덩굴>도 숲속에 숨어 꽃을 피웠다.

꽃모양은 같으나 개별꽃보다 잎이 넓은 <숲개별꽃> 

비교적 낮은 지대에 많이 피어있는 <꽃마리> 

<애기나리>는 군락을 이룰만큼 밀생하고 있다. 

고개를 숙인 큰애기나리와 달리 하늘을 향해 핀 애기나리 

 

 꽃잎이 넓고 끝이 둔한 피침형의 종도 발견된다.

<윤판나물>은 이제 막 피기 시작한다. 

 <둥글레>는 조금 늦은 것 같고

<은방울꽃>도  본격적으로 개화중이다. 은방울꽃 화피를 갉아 먹는 벌레가 있나 ? 

<족도리풀>도 많이 볼 수 있다. 

숲 그늘에 곱게 핀 <각시붓꽃> 

<금붓꽃>도 경쟁하듯 피었다.

한대만 핀 금붓꽃에 촛점을 맞추는 동안

지난 주에 무더기로 피었던 금붓꽃이 없어졌다는 등산객의 격앙된 목소리가 귀를 때린다.

산객들이 평일에도 많아 지면서

관상적가치가 있는 식물체는 자연상태로 남아나기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기우이기를 바란다. 

철문봉에서 저녁 약속시간때문에 중도 하산하기로 하다.

하산길에 만난 <피나물>  

 숲그늘에 외롭게 숨어 핀 <홀아비바람꽃>

 

<선밀나물> 

화초처럼 자란 <대사초> 

<조팝나무> 

<산복숭아나무> 

 <귀룽나무>

 <산철쭉>

적갑산 철문봉 예봉산으로 향하는 능선에 만개한 철쭉 

 <매화말발도리>

이 나무는 무엇일까 ? 얼핏보면 <이스라지>와 비슷한데..... 

적갑산 정상의 표지석 

 숲사이로 덕소의 아파트 숲, 미사대교와 구리시내가 보인다.

철문봉을 향하는 가파른 길, 시간이 허용하는데까지만 가기로 하다. 

<졸방제비꽃> 

제비꽃은 하도 종류가 많아서 몇몇 종은 구분하기 쉽지 않지만

유난히 꽃잎이 큰 이곳의 제비꽃의 이름은 모르겠다.   

잎파리의 모양으로 보면 <알록제비꽃>같기도 한데 ..... 

꽃의 크기나 많은 꽃대로 보아 관상적 가치가 돋보이는 제비꽃  

 도심 가까이에 인접한 산치고는 많은 종의 야생화들이 서식하고 있어서

미래의 후손들에게 그대로 물려 주려면 등산객들의 주의와 각별한 관리가 필요할 것 같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씀바귀  (0) 2010.06.01
벌깨덩굴  (0) 2010.05.31
미국산딸나무  (0) 2010.05.30
미나리냉이  (0) 2010.05.29
명자나무  (0) 2010.05.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