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실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Aster ageratoides Turcz.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중국, 러시아, 인도북부

서식지 : 산, 들의 풀밭

개화기 : 8~10월 연한 보라색 꽃이 핀다.

이   명 : 곰의수해, 까실쑥부장이, 껄끔취, 산쑥부쟁이, 흰까실쑥부쟁이

효   용 :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화초처럼 마당 한켠에 키우는 까실쑥부쟁이

이파리 표면이 까실까실하게 거칠다고

그렇게 부른다.

이름은 까실스럽게 거칠어도

꽃만은 한없이 아름답다.

전국에 자생하는 쑥부쟁이가

16종이나 되지만

가을 들국화로 불리는데

전혀 손색이 없는 쑥부쟁이다.

그 중 가지 끝에 산방상으로 많은 꽃이 달리는

까실쑥부쟁이의 관화적 가치는 무척 크다.

다만 키가 1m 전후로 자라는 탓에

좁은 마당에서 키우기는 부담스럽지만

도심공원이나 가로공원에는

잘 어울릴 것이다.

게다가 십년이 넘도록

뿌리 한포기에서 매년 견실한 꽃을 피울만큼

생존력도 좋아서

척박한 도심에도 잘 적응 할 수 있을 것이다.

처음에는 진한 보라색으로 피다가

시간이 지날수록 연보라색에서

연한 핑크빛으로 바뀌는 꽃도

보기 좋다.

집에서 관상용으로 키울 때는

초여름에 싹을 짧게 잘라 묵나물로 먹고

가을에 키가 크지 않은 상태에서

많은 꽃을 볼 수 있으니

이 아니 좋을 손가!

'좋은사진 > 꽃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이끼 포자낭  (0) 2021.01.12
칼리메리스(일본국화)  (0) 2021.01.09
백일홍  (0) 2021.01.03
결명자  (0) 2020.12.31
온시디움키우기  (0) 2020.12.20

까실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Aster ageratoides Turcz. var. ageratoides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중국, 러시아, 인도북부

서식지 : 산, 들의 풀밭

개화기 : 8~10월 연한 보라색 꽃이 핀다.

이   명 : 곰의수해, 까실쑥부장ㄹ이, 껄끔취, 산쑥부쟁이, 흰까실쑥부쟁이

효   용 :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좋은사진 > 꽃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시디움  (0) 2018.01.02
란타나  (0) 2017.12.29
둥근잎꿩의비름  (0) 2017.12.10
한라구절초  (0) 2017.11.30
수세미오이덩굴  (0) 2017.11.29

<까실쑥부쟁이>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Aster ageratoides Turcz. var. ageratoides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중국, 러시아, 인도북부

서식지 : 산, 들의 풀밭

개화기 : 8~10월 연한 보라색 꽃이 핀다.

이   명 : 곰의수해, 까실쑥부장이, 껄끔취, 산쑥부쟁이, 흰까실쑥부쟁이

효   용 :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협죽도, 플록스  (0) 2013.11.05
이고들빼기  (0) 2013.11.04
엔절트럼펫(Angel's Trumpets)  (0) 2013.11.01
꽃속의 꽃, 삽주의 꽃  (0) 2013.10.31
방울토마토  (0) 2013.10.30

작년부터 울집마당의 한식구가 된 까실쑥부쟁이

올해는 유월쯤 줄기의 중간을 잘라내 키를 조절했다.

작년엔 그냥 자라는대로 두었더니

1미터 이상의 키로 너무 자라

가뜩이나 좁은 마당을 더욱 비좁게 보이게 만들어서

줄기자르기를 했더니

5~60Cm키로 적당하게 자란상태에서

꽃을 잘 피웠다.

 

자연상태에서와는 다른 인위적인 키조절 상황에

까실쑥부쟁이가 어떻게 대처할지 자못 궁금해진다. 

<까실쑥부쟁이>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Aster ageratoides Turcz. var. ageratoides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중국, 러시아, 인도북부

서식지 : 산, 들의 풀밭

개화기 : 8~10월 연한 보라색 꽃이 핀다.

이   명 : 곰의수해, 까실쑥부장이, 껄끔취, 산쑥부쟁이, 흰까실쑥부쟁이

효   용 :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베리스  (0) 2011.11.21
참취 꽃  (0) 2011.11.21
제라늄  (0) 2011.11.17
산꼬리풀  (0) 2011.11.16
마타리  (0) 2011.11.15

이름에서부터 까칠한 성격이 묻어 나오는 것 같다.

<까실쑥부쟁이>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 등재된 쑥부쟁이의 종은 약 15종.

대체로 쑥부쟁이의 꽃은 연한 보라색을 띈다.

그중에서도 단연 까실쑥부쟁이의 꽃이 가장 고상하고 우아해 보인다.

보통 키가 1m정도라는데 우리집 마당에 자란 것은  1m 50cm 정도로 크다.

마당이 없었더라면 집에서 이런 야생화를 볼 수 있을까 ?

뉴타운이다, 지역재개발이다해서

성냥갑을 쌓아 놓은 것 같은 아파트들만 늘어나고

 녹색식물이 뿌리내린 산뜻한고 청량한 기운을 주는 마당은 점차 사라져만 간다.

그래서 도시는 점점 획일화되고 삭막한 콘크리트숲으로 바뀔 것이다.

북악산, 인왕산, 북한산 줄기로 둘러싸인

천혜의 도심정원조차도 재개발의 광풍이 몰아치면 어떻게 바뀔까 ? 

 

<까실쑥부쟁이>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Aster ageratoides Turcz. var. ageratoides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중국, 러시아, 인도북부

서식지 : 산, 들의 풀밭

개화기 : 8~10월 연한 보라색 꽃이 핀다.

이   명 : 곰의수해, 까실쑥부장ㄹ이, 껄끔취, 산쑥부쟁이, 흰까실쑥부쟁이

효   용 :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시박  (0) 2010.10.18
남산제비꽃, 미국제비꽃 10월에 활짝 피다.  (0) 2010.10.15
황매화  (0) 2010.10.13
비자루국화  (0) 2010.10.12
9월에 핀 바람꽃  (0) 2010.10.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