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에 포트 모종 여러 개를 사서 심었음에도
작년보다 꽃이 더 적게 핀 크로커스
원예종 구근식물을 키우기가 까다롭다.
자생종 야생화는 한 번 심어 놓으면
그다음에는 스스로 알아서 크고
꽃을 피우지만
구근식물은 땅에서 캐서
건조했다가 다시 심어야 한다.

크로커스도 추식구근이라
8~9월에 지상물이 사라지면
캐서 건조했다가 11월 경 다시 심어야 하는데
그게 귀찮아서 내버려 두었다.
작년보다 포기수는 엄청 많이 늘었지만
알뿌리가 잘아졌는지
꽃은 작년보다 더 적게 피었다.

튤립도 수선화도 크로커스처럼
캐서 건조 후 가을에 다시 심어야 하는데
그대로 두었더니
구근이 쪼그라드는지
해마다 꽃이 피는 개체수는 줄어든다.
육종회사들의 농간이 아닐까 싶다.
꽃을 제대로 보려면
매년 구근을 사서 심어야 하고
꽃이 진 후 캐내어 건조과정을 거치더라도
햇수가 지나면 구근이 쪼그라들어서
꽃이 제대로 피지 않는다니.
원예종 화초는 손이 너무 많이 가서 싫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