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절초

이것도 구절초일까?

'좋은사진 > 꽃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부추  (0) 2023.03.06
11월의 떡잎골무꽃  (0) 2023.03.05
한라구절초  (0) 2023.02.26
가는쑥부쟁이  (0) 2023.02.24
만개한 시클라멘  (0) 2023.02.23

구절초

<구절초>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전국 각지, 일본, 시베리아, 중국, 몽골

 이   명 : 서홍구절초

 영   명 : White0lobe Korean dentranthema

 효   용 : 관상용. 줄기와 잎을 말려 생약 구절초로 사용하며 한방과 민간에서 꽃이 달린 전초를 치풍, 부인병, 위장병에 처방한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돈나무  (0) 2017.11.14
과남풀(칼잎용담)  (0) 2017.11.07
가자니아 '바리가타'  (0) 2017.10.26
제주도 털머위  (0) 2017.10.25
왕관쑥부쟁이  (0) 2017.10.18

북한산 산성 성곽 주변에 구절초가 한창입니다.

5월 단오에 다섯마디였던 줄기가

음력 9월 9일, 홀수가 두번 겹치는 복날인 중양절을 맞아

아홉마디가 된다고 구절초(具節草)라고 부릅니다.

중양절(重陽節)에 구절초를 올립니다. 

 

<구절초>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전국 각지, 일본, 시베리아, 중국, 몽골

 이   명 : 서홍구절초

 영   명 : White0lobe Korean dentranthema

 효   용 : 관상용. 줄기와 잎을 말려 생약 구절초로 사용하며 한방과 민간에서 꽃이 달린 전초를 치풍, 부인병, 위장병에 처방한다. 


구절초도 종류가 제법 많아서 구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보통 구절초라고 하는 종은 넓은잎구절초, 서홍구절초라고도 부르며

그외 산구절초(바위구절초), 포천구절초(가는구절초), 울릉구절초, 한라구절초 등등

30가지가 넘는다고 합니다.

그 많은 구절초의 이름을 정확하게 불러주어을 때

비로소 내게 꽃으로 다가올까요?

이 즈음 산야에 피는 국화과의 구절초, 산국, 감국, 쑥부쟁이, 개미취 등을

통상 들국화라고 부르듯

가을에 피는 구절초의 아름다움은

그 어떤 이름으로 불리워도 퇴색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머리에 쥐가 나도록 고민하고 조사해서

이름을 정확하게 붙여주어야 하겠지만

그것은 전문가에게나 맡기렵니다.

바위틈과 성곽 사이에 핀 하얀 구절초의 아름다움을

그저 직관으로 받아드립니다.

역시 국화는 가을국화

그 중에서도 들국화가 감성에 딱 맞는 계절입니다.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못 본

그 꽃

고은 시인의 싯귀처럼

한순간이라도 여유를 갖고 주변의 가을 꽃의 향취에

바쁜 일상을 묻어 보시기 바랍니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향유  (0) 2016.10.15
유포비아 티루칼리  (0) 2016.10.13
클로버(토끼풀)  (0) 2016.10.08
자주달개비  (0) 2016.09.30
포체리카  (0) 2016.09.27

<한라구절초>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Dendranthema coreanum (H.Lev. & Vaniot) Vorosch

원산지 : 한국 제주도 특산 위기종

분포지 : 제주도 한라산

서식지 : 해발 1300m 이상 고산지대

개화기 : 9~10월 흰색, 분홍색의 꽃이 두상화서로 핀다.

꽃   말 : 가을의 향기, 어머니의 순수한 사랑, 청초함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릉도 해국  (0) 2015.10.29
울릉장구채  (0) 2015.10.27
쑥갓  (0) 2015.10.21
덩굴별꽃 열매  (0) 2015.10.20
뚱딴지라니?  (0) 2015.10.19

집앞 인왕산에서 바위구절초(산구절초)를 만납니다.

깔끔한 연분홍으로 피었다가

만개하면 순백의 하얀 꽃으로 바뀌는 구절초

야간 산길에도 달빛을 받아 더욱 더 하얗게 빛나는

바위구절초가 참 좋습니다.

 

이러한 야생 구절초를 개량하여

화려한 겹꽃이나 커다란 국화를 개량해 내놓기도 하지만

청초하고 깔끔한 맛은

아무래도 야생화 원종을 따라갈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인위적인 아름다움이 첨가되지 않은

순수한 야생화가 좋습니다.

 

이렇게 때묻지 않고 순수한 야생화같은 정치인은 없나요 ?

 

<바위구절초(산구절초)>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   명 : Dendranthema zawadskii (Herb.) Tzvlev var. zawadskii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일본, 시베리아, 중국, 한국의 전국 각지

효   용 : 한방에서 줄기와 잎을 말려 생약 구절초로 사용하며

           한방과 민간에서 꽃이 달린 전초를 치풍, 부인병, 위장병에 처방한다.

이   명 : 산구절초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쑥부쟁이  (0) 2012.10.30
쑥부쟁이  (0) 2012.10.28
개솔새  (0) 2012.10.25
세잎쥐손이  (0) 2012.10.24
미역취  (0) 2012.10.23

인왕산에 그늘진 숲속에 하얀 <구절초> 꽃이 한창입니다.

어두운 숲을 배경으로 핀 하얀 꽃은

꽃말 그대로 우아함, 고상함, 순수함 그 자체입니다.

약초로도 널리 쓰이는 구절초는

음력 9월 9일에 채집하여 쓰면 약효가 가장 뛰어나다 하여 구절초라 부른다는 설,

마디가 9개라 하여 구절초(九節草)라 부른다는 설 등이 있답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구절초는

통상 구절초라 부르는 서흥구절초, 바위구절초, 산구절초(가는잎구절초), 신창구절초, 울릉구절초,

포천구절초, 한라구절초 등이 있는데요

이 가을 구절초 술에 취하여

풍류를 논하여 여유가 필요합니다.

 

<구절초>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몽고

서식지 : 산기슭 풀밭

개화기 : 9~11월 연한 홍색 또는 흰색의 꽃이 두상꽃차레로 핀다

꽃   말 : 어머니의 사랑, 고상함, 밝음, 순수, 우아한 자태

이   명 : 넓은잎구절초, 구일초(九日草), 선모초(仙母草), 들국화, 고뽕(苦蓬)

효   용 : 꽃은 술에 담가 먹고 모양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심는다.

           생약 구절초는 줄기와 잎을 말린 것이며 한방과 민간에서는 꽃이 달린 전초를 치풍.부인병.위장병에 처방한다.

           여성의 자궁이 허약하고 차서 생기는 생리통.불임증에 효과가 있고

           위냉.소화불량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민간에서는 환약 또는 엿을 고아 장복하면 생리불순에 효험이 있고 임신이 잘 된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스타국화  (0) 2010.10.31
왕고들빼기  (0) 2010.10.30
참싸리  (0) 2010.10.27
돼지풀  (0) 2010.10.27
노랑물봉선, 물봉선  (0) 2010.10.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