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위자연/植物世上

서울의 송악

가루라 2017. 12. 19. 23:55

울릉도에서 만났던 송악

서울시 종로구 소재 윤동주시인의 언덕에서 봅니다.

해안과 도서지방 숲속에서 자라는 이 아이가

어떻게 서울 한복판에 자라고 있을까요?


<송악>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룹나무과의 상록덩굴식물

학   명 : Hedera rhombea (Miq.) Siebold & Zucc. ex. Bean

           Hedera japonica Tobler.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전남북도, 경남북도, 울릉도, 충청남도 일부, 인천 앞바다

서식지 : 해안과 도서지방의 숲속

꽃   말 : 우정, 신뢰

이   명 : 담장나무, 소밥나무

영   명 : An Iviy

효   용 : 관상용 지피식물, 사료로 쓰고 잎과 줄기를 상춘등(常春藤)이라 하여 약재로 쓴다.

            간을 맑게 해주고 거풍, 소종, 지혈작용의 효과가 있어서

            풍습성 관절염, 안면신경마비, 현기증, 간염, 황달, 고혈압, 종기치료에 약재로 쓴다.

<송악 꽃>

줄기의 굵기로 보아

이 곳에 자리 잡은 지 꽤 오래 되었지 싶습니다.

울릉도에서 처음 보았을 때

서양의 아이비 보다도 심플하고 정갈한 모습에 반해서

관상용으로 키우면 참 좋겠다고 생각했었지요.

겨울비 촉촉히 내린 오후 해질무렵

이미 어스름이 내려 쨍한 사진을 얻지 못함이 아쉽지만

어둠 속에서도 잃지 않는 이파리의 윤기

겨울철에도 잃지 않는 진한 녹색

이 정도로도 관엽적 가치가 충분하지 않을까요?

주로 경기 이남의 일부 도서와 내륙 숲속에 자생하며

인천 인근의 도서에도 자생한다고 하니

관상용으로 배양해서 수도권에서 기르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선명한 엽맥과 거칠지 않는 잎 가장자리

길지 않은 잎자루

산형꽃차례로 달리는 꽃과 열매

화려하지는 않지만

서양의 아이비와는 달리 꽃도 볼 수 있습니다.

선운사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멋진 송악이

바위절벽을 타고 자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수령이 얼마나 된 것인지 가늠할 수 없을 정도

덩굴식물이 그 정도 굵기로, 크기로 자라려면

얼마나 많은 세월을 담아야 할까요?

먼 훗날 서울의 이 송악도

선운사의 송악처럼 수백년, 수천년 서울의 역사를 함께 써가기를 바래봅니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풀  (0) 2017.12.28
낙상홍 열매  (0) 2017.12.26
안젤로니아  (0) 2017.12.16
남천 열매  (0) 2017.12.15
황금회화나무  (0) 2017.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