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봄 남도의 들판은 봄나물의 보고이다.

곰밤부리나물, 벼룩나물 등이 그것이다.

이 땅에 자라는 이른 봄의 새싹 중

나물로 하지 못하는 것이 별로 없을 정도로

어린 시절 고향에서 바구니 하나 끼고 봄나물을 캐는

어머니, 할머니, 누나, 고모들을 보는 것은

흔한 풍경이었다.

도시인들이야 시장에서 나물거리를 사서

먹어야 했지만

농촌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들판이 무료 시장이었던 셈이다.

결혼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어머님을 따라 봄나물을 캐던 아내는

곰밤부리나 벼룩나물을 캐시는 어머님께

이런 불떼기를 어떻게 먹느냐 했었다.

벼룩나물, 곰밤부리를 살짝 데쳐서

된장에 버무려 내어놓은 나물을 먹어보고

와 이렇게 맛있는 나물이 어떻게

들판에 지천이냐 놀라기도 했었다.

곰밤부리는 전라도 지방의 방언이고

국명은 별꽃이다.

꽃모양이 비슷한 쇠별꽃과

구별하기가 쉽지 않은데 별꽃

전문가가 아니어도 별꽃은 암술머리가 3갈래이고

쇠별개는 5개인 것만 알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쇠별꽃에 비해 별꽃은 잎도 달걀 모양에 더 가깝고

더 육질형이여서 식감에도 좋다.

5장인 하얀 꽃잎은 깊은 심장형으로 파여서

마치 10장처럼 보인다.

수술은 1~7개로 꽃밥이 처음에는 분홍색이었다가

나중에는 터지면 연노랑으로 바뀐다.

전 세계 어디에나 흔히 자라는 두해살이풀 별꽃

다른 나라에서도 나물로 먹을까?

이른 봄 춘궁기에 땅은 인간에게 먹거리가 될 풀을

누가 종자를 뿌리지도 않는데 스스로 키워낸다.

농작물은 재배와 수확에 시간과 힘든 노동을 필요로 하지만

봄나물은 무딘 칼 한 자루와 바구니 하나면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먹거리를 내어 준다.

그렇다고 들판에서 봄나물을 캐고

대지의 여신 가이아에게 감사의 인사를 올리는

사람은 특별히 없다.

흔하고 구하기 쉬운 것에 대해

감사하지 않으면서 신에게 마음을 의탁할 수 있을까?

이른 봄에 주는 봄나물에 감사함을 배운다. 

벼룩나물은 별꽃보다 꽃이 늦다.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찍 핀 돌단풍  (0) 2025.03.19
백화등 향기 가득한 봄  (2) 2025.03.17
이젠 복수초의 시간이다.  (0) 2025.03.15
버들강아지, 꿀벌 그리고 봄  (0) 2025.03.11
칼랑코에 개화  (0) 2025.03.10

#별꽃

땅바닥에 바짝 엎드린 자세로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별꽃

많은 잔뿌리로 지면을 붙들고 있을 뿐

뿌리도 깊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 땅을 이겨내고

누구보다도 먼저 꽃을 피우는 것은

자신보다 키가 큰 식물들이

햇빛을 가리기 전에

열매까지 맺어야 하기 때문일 게다.

그래서 이름이 아름다운 별꽃의 삶은

녹록지 않다.

게다가

이른 봄에 푸릇푸릇 싹을 틔우니

곰밤부리나물로 명을 다할 수도 있어서

태생적 위험성도 안고 있다.

부지런한 것이 다 좋은 것만은 아닌가?

'좋은 글 > 세상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딱따구리의 혀 이야기  (0) 2021.03.12
피라미이야기  (0) 2021.03.11
양지를 찾아서  (0) 2021.03.08
학자스민 이야기  (0) 2021.03.07
청둥오리 한쌍  (0) 2021.03.06

이른 봄 어떤 것 보다 일찍 꽃을 피우는 풀꽃인 별꽃

로제트형으로 땅바닥에 바짝 붙어 겨울을 나고

들녁에 따사로운 햇볕이 들기 시작하면

작고 푸른 잎을 활짝 펴기 시작한다.

들판에 나물을 캐러가시던 어머님 소쿠리에는

아직 잠자는 쑥이나 냉이 대신

곰밤부리나물이 하나 가득.

살짝 데쳐서 된장에 무쳐 먹거나

간장에 조물조물해서 먹기도 했었다.

 

 

 

 

 

<별꽃 : Chickweed>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학   명 : Stellaria media (L.) Vill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등 전세계

서식지 : 밭, 길가 또는 산지

꽃   말 : 추억

효   용 : 어린 잎이나 줄기는 나물로 먹는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피임이나 산모의 유즙 분비를 원할하게 하는 최유제로 쓴다.

           서양에서는 피부 가려움증이나 폐병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였고 17세기 초본학자 존 제라드는 옴치료제로 추천하기도 했다.

           류마치스 통증, 관절염, 주기적 고통에 처방하고, 별꽃 습포는 자상, 화상, 타박상을 치료하는데 쓰기도 한다.

 

 

시골에서 느끼는 봄날의 소소한 일상은

한결 따뜻함으로 다가오고

풀냄새 가득했던 저녁 밥상으로

겨울의 한기를 몰아내기에 충분했었다.

 

 

도시생활로 대체 되면서 사라졌던

봄날의 그런 소소한 일상이 그립다.

그런 일상에 대한 추억은

의식도 없이 몇달째 병상에 누워 계시는 어머님과 함께

병원에 갇혀 있고

어머님 떠나시면 그 추억마저 사라질 것이다.

 

 

백사실계곡 입구에서 다시 만난 별꽃

같은 곰밤부리나물이지만

왠지 먹을 수 없는 풀로 보여진다.

 

 

어머님 손을 거치지 않은 곰밤부리나물은

그냥 풀꽃인 별꽃일 뿐이다.

 

 

이 별꽃이 곰밤부리나물인 것은

나의 세대에서 끝나게 될뿐

우리의 아들, 딸이 그걸 기억할까?

 

 

그래서 별꽃은

내게도 먹을 수 없는 추억의 먹거리일 뿐이다.

 

 

 

'좋은사진 > 꽃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꿩의바람꽃 한송이  (0) 2020.03.26
산수유나무 꽃구경  (0) 2020.03.23
영춘화는 피었는데...  (0) 2020.03.15
마가목 열매  (0) 2020.03.12
온시디움  (0) 2020.03.07

마당에 핀 별꽃.

전라도에서는 곰밤부리나물이라 하여 봄나물로 먹지만

농부의 입장이나 원예농가에서는 귀찮은 잡초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집 마당에 봄소식을 전하는 이 풀을 쉽게 뽑아 버리지 못합니다.

맨눈으로 보면 녹두알만큼 작은 꽃이지만

이 풀이 꽃을 피우면

우리집 마당에 봄이 오기 시작하는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별꽃 : Chickweed>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학   명 : Stellaria media (L.) Vill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등 전세계

서식지 : 밭, 길가 또는 산지

꽃   말 : 추억

효   용 : 어린 잎이나 줄기는 나물로 먹는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피임이나 산모의 유즙 분비를 원할하게 하는 최유제로 쓴다.

           서양에서는 피부 가려움증이나 폐병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였고 17세기 초본학자 존 제라드는 옴치료제로 추천하기도 했다.

           류마치스 통증, 관절염, 주기적 고통에 처방하고, 별꽃 습포는 자상, 화상, 타박상을 치료하는데 쓰기도 한다.

<별꽃 접사>

접사를 통해 보는 별꽃은

잡초라기 보다는 오히려 화초로 불러야 어울릴 것입니다.

김춘수 시인의 노래처럼 그 이름을 불러주니

내게로 와 꽃이 되었다고나 할까요?

비록 작고 하찮은 잡초지만

보는 관점에 따라서

나물로, 귀찮은 잡초로, 원예종 화초 못지않은 화초로 보이는 것

그것이 각자의 입장에서 자연을 대하는 관점이겠지요.

마당에 뜬 별처럼 내게 봄소식을 전해주는 별꽃

이젠 이름처럼 꽃이라 불러야 좋을듯 싶습니다.


'좋은사진 > 꽃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수유꽃  (0) 2017.06.04
고메바끼누이끼  (0) 2017.05.09
풀협죽도(플록스)  (0) 2016.12.15
고추잠자리와 참나리  (0) 2016.09.19
미국나팔꽃  (0) 2016.09.01

이른 봄 길가나 집 근처 양지쪽에 핀 이 꽃을 보면 애잔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습니다.

어떻게 이렇게 완벽하게 아름다운 꽃이 잡초일 수가 있단말인가?

하늘의 별, 땅의 별.

진한 녹색의 잎을 바탕으로 무리지어 하얗게 핀 꽃들이 별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별 볼 일 있는 별꽃!

국가생물종지식시스템으로 별꽃을 검색해보면

개별꽃, 쇠별꽃, 뚜겅별꽃, 덩굴별꽃 등 무려 44종이나 검색됩니다.

 

너무나도 작고 작은 탓에 꽃으로 인정 받지도 못하고

작물을 심어야 할 텃밭을 무리지어 점유한 탓에 귀찮은 잡초로 버려지는 별꽃

그나마 다행이 곰밤부리라는 이름으로 식탁에 오르는 영예를 누리는

달콤하고 영양가 많은 봄나물 중 하나랍니다.

사실 시골에서 자랐음에도 별꽃을 나물로 먹어본 적이 없지만

몇해전 봄 어머님과 함께 고향집에 같을 때

어머님은 이것을 나물로 먹는다 집사람에게 일러주셨답니다.

허투로 들은 집사람은 이름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고

어머님마져 이젠 기억이 흐려지셔서 기억할 수 없는 봄나물

최근 TV방송을 통해 알려지고 난 후에는 나물로 먹는 사람들이 늘었다네요.

 

지구상에 약 90~120종이 서식하는 Stellaria속의 꽃 중 별꽃은

별모양의 5개의 5각형 꽃받침과

10개처럼 보이지만 사실 둘로 깊게 갈라진 5개의 꽃받침보다는 약간 작은 꽃잎

그리고 접사를 통해 보아야만 확인할 수 있는 1~7개의 수술과 3개의 암술대 등

학명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별모양의 5각형 꽃입니다.

 

이와 유사한 쇠별꽃과는 암술대의 갯수로 구분할 수 있답니다.

쇠별꽃은 암술대가 5개라는데

이파리의 모양이나 모든 것으로 보아 별꽃인데도

암술대가 4개 또는 5개인 것도 보이네요.

달걀 모양의 열매속에는 무려 15,000개의 별꽃 종자가 들어 있는데

꽃이 피는 것과 거의 동시에 종자를 뿌린답니다.

그러니 과수원이나 밭에는 조금만 풀매기를 소홀히 하면

땅을 완전히 덮어버릴만큼 무성하게 자랍니다.

 

유럽에서는 잎채소로 먹거나 날것을 샐러드로 먹고

일본에서는 나나쿠사 노 세쿠(Nanakusa-no-sekku)라는 봄철축제 때

상징적인 음식의 재료중 하나로 쓴답니다.

 

봄나물 곰밤부리

이제부터는 즐겨 찾아 볼까요! 

 

<별꽃 : Chickweed>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학   명 : Stellaria media (L.) Vill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일본, 유럽, 북미 등 전세계

서식지 : 밭, 길가 또는 산지

꽃   말 : 추억

효   용 : 어린 잎이나 줄기는 나물로 먹는다. 민간에서는 전초를 피임이나 산모의 유즙 분비를 원할하게 하는 최유제로 쓴다.

           서양에서는 피부 가려움증이나 폐병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였고 17세기 초본학자 존 제라드는 옴치료제로 추천하기도 했다.

           류마치스 통증, 관절염, 주기적 고통에 처방하고, 별꽃 습포는 자상, 화상, 타박상을 치료하는데 쓰기도 한다. 

 같은 줄기에 달린 꽃인데도

아래 사진상의 좌측은 암술대 3개, 우측 암술대는 4개입니다.

학계에서 설명하는 표준체외에도 자연계에서는 변이종을 쉽게 볼 수 있나 봅니다.

 암술대 3개짜리 둘이 정겹게 피어 있습니다.

두갈래로 깊게 갈라진 꽃잎이 토끼귀처럼 귀엽습니다.

아래 사진 속의 것도 암술대가 4개네요.

 

 

 

떡잎을 제외하면 이파리가 몇장 채나지도 않은 2월말

이렇게 작은 전초에서도 꽃을 피울만큼 강인합니다.(2월 27일 촬영)

뒤에 보이는 모래알갱이의 크기와

우측 하단에 흐릿하게 보이는 이베리스의 이파리 크기로 크기를 가늠해 보면....

그러니 맨눈으로만 보는 사람들의 눈에는 꽃이 아니라 잡초일 뿐입니다.

꽃밥의 색깔은 처음 주홍색이었다가 약간 검은 빛을 띤 노란색으로 변하고

종국에는 검정에 가까운 암청색으로 바뀌는 것처럼 보입니다.

하얀 꽃잎을 바탕으로 달린 주홍색 꽃밥이 앙증스럽습니다.

 

땅바닥을 기듯 사방으로 길게 줄기를 뻗어서

한포기만 뽑아도 몇웅큼은 될만큼 수세가 강한 풀입니다.

나른한 봄철 웬지 식욕이 당기지 않을 때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데다가

약효도 있고 맛도 달콤하고 영양가 있다는 곰밤부리나물을

된장에 버무려 먹어보면 어떨까요?

'무위자연 > 植物世上'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진개벚나무(수양벚나무, 능수벚나무)  (0) 2014.04.19
큰개별꽃, 개별꽃  (0) 2014.04.18
남산제비꽃  (0) 2014.04.14
꿩의바람꽃  (0) 2014.04.12
깽깽이풀 발아  (0) 2014.04.11

+ Recent posts